與, 정강·정책에 ‘복지 최우선’ 추진

입력 2012-01-25 19:05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당 정강·정책의 강령 제1조인 ‘정치’ 관련 조항을 뒤로 미루고 ‘복지’ 조항을 1순위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천 후보자들의 ‘트위터 계정 거래’ 행위가 적발될 경우 공천 심사에서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비대위 산하 정책분과위는 25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어 정강·정책 개정안을 논의했으며 27일까지 분과위 차원에서 초안을 마련한 뒤 30일 비대위 전체회의에 보고하기로 했다.

분과위원장인 김종인 비대위원은 “제1조에 ‘미래지향적 선진정치’ 대신 복지 관계 내용이 들어갈 것”이라며 “현재 강령 7조에 언급된 자생복지보다는 생존의 위협을 받는 사람들을 도와주는 생존보장을 지향점으로 두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종범(성균관대 교수) 자문위원도 “복지를 앞부분으로 올리는 방향은 거의 맞다”고 말했고 이양희 비대위원은 “국민의 민생, 행복추구권을 먼저 담자는 얘기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분과위는 또 경제 분야를 다룬 강령 제2조의 ‘큰 시장, 작은 정부’를 ‘작지만 강한 정부’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제2조에는 ‘큰 시장, 작은 정부의 기조에 입각한 활기찬 선진경제를 지향한다’고 돼 있다.

분과위는 1조와 2조를 개정하는 것을 비롯해 현행 18개 조항을 10개로 줄이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한편 눈높이위원장인 조현정 비대위원은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가진 뒤 “광고 등의 목적으로 트위터 계정을 거래하는 사례가 예전부터 있었는데 최근 정치권에서도 이러한 요구가 생겼다고 한다”면서 “적발될 경우 공천 심사에서 상당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