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대기업 옥죄기] 고개숙인 삼성 “담합은 해사행위”

입력 2012-01-25 22:16

삼성그룹이 담합을 해사(害社)행위로 규정하고 다음 달 말까지 담합 근절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삼성 사장단은 25일 서울 서초동 사옥에서 수요 정례 회의를 열고 환경안전 추진전략에 대한 강의를 들은 뒤 담합 근절대책을 논의했다. 최근 삼성전자가 LG전자와 담합한 사실이 드러나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았고 삼성생명도 담합으로 과징금 처분을 받으면서 비난을 받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김순택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담합은 명백한 해사행위”라고 강조하며 “사장 책임이라고 생각하고 담합 근절을 위한 근본적이고 구체적·현실적인 대책을 세우라”고 지시했다. 그룹 차원에서도 근본 원인을 점검하고 근절대책을 마련하겠지만 각 계열사에서도 담합이 일선 현장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사장들이 책임감을 갖고 챙기라는 의미라고 삼성 고위 관계자는 전했다.

김 실장은 최근 담합행위가 적발된 계열사 사장들에게 대책에 대해 물었다.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은 “담합을 부정과 똑같은 행위로 간주해서 무관용으로 처벌하겠다”고 답변했다. 박근희 삼성생명 사장은 “금융사의 경우 감독기관의 행정지도가 있더라도 경쟁사간의 별도 협의가 있으면 담합이 성립될 수 있으므로 담합 행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철저하게 교육을 시키겠다”고 답했다.

김상균 미래전략실 준법경영실장(사장)은 “그룹은 담합 행위 근절을 위해 2010년부터 컴플라이언스(준법) 프로그램을 본격 도입해 임직원 교육 등을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근절되고 있지 않은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준법경영실이 각사의 법무·컴플라이언스 조직을 통해 다음 달 중순까지 담합이 근절되지 않고 있는 근본원인을 점검하고 다음 달 말까지 종합적인 근절 대책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 사장은 계열사 사장들에게 법무·컴플라이언스 점검 활동을 적극 독려하고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