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지방 민심-부산·경남] “與 해준게 없다”vs“野도 똑같을 것”
입력 2012-01-24 21:44
4·11 총선을 앞두고 각 지역의 설 민심을 지난 21∼24일 들여다봤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격변하는 중앙정치 분위기에 지역의 민심도 움직이고 있다. 예상되는 주요 격전지와 변화 바람이 뚜렷한 지역 주민들의 표심은 크게 몇 가지로 정리된다. 우선 현 정부와 정치권에 대한 실망감이 크다. 이에 따라 팍팍한 서민들의 삶을 달래주고 경제를 확실히 살리는 인물과 정당을 찾고 있다. 구태의연한 텃밭을 선호하기보다는 새로운 인물과 변화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전통 여당의 텃밭으로 불리는 부산에서 19대 총선을 앞두고 전례 없는 야당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최근 전국적인 관심을 받는 곳은 사상과 북·강서을 지역이다.
이들 두 지역은 지난달 26일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과 문성근 최고위원 등 거물급 인사가 출마를 선언하면서 격전지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24일 오전 부산 사상구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앞 사상광장로.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한나라당 김대식 예비후보 선거사무소와 문재인 이사장 선거사무소에서 대형 현수막을 내걸고 있다. 이곳이 총선 최대 격전지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듯했다.
주민 이모(60·여)씨는 “많은 주민들이 현 상황을 관망하면서도 문 이사장이라는 거물급이 내려와서 그런지 예전처럼 대놓고 한나라당을 찍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훨씬 줄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이어 “그동안 한나라당 국회의원이 당선된 이후 주민들이 변화를 피부로 느끼지 못해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 아니겠느냐”고 일침을 가했다.
문성근 최고위원이 출사표를 던진 북·강서을에선 일부 새바람이 이는 상황이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지지 기반이 만만치 않아 이번 선거에서 ‘태풍의 눈’이 될 전망이다.
박모(38·회사원)씨는 “일부 지역 개발이 지지부진해 주민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며 “3선 국회의원도 이 같은 사정을 모를 리 없겠지만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으니 안타깝다”고 말했다.
박모(60)씨는 “이번 총선에서는 지역사정을 잘 알고 발전시킬 수 있는 이에게 표를 던질 것이라는 여론이 높다”며 “정치권이 여·야를 떠나 바람보다 인물에 더 신중해야 하는 이유다”고 지적했다.
경남지역은 전통적으로 한나라당이 강세지만 서민경제 침체와 축산농가의 육우값 폭락,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문제가 겹치면서 민심이 흔들리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문재인·문성근·김정길로 구성된 이른바 ‘문·성·길 트리오’를 앞세워 교두보 마련에 총력을 쏟고 있다. 양측의 격돌이 불가피하지만 서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은 아직 냉담한 실정이다.
주부 고경희(48·김해시 내동)씨는 “경제와 서민들의 살림이 어려우니 현 정부와 정치인에 대한 민심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부산·창원=윤봉학 이영재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