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중앙당 전국위 체제, 당대표·최고위원 폐지 추진”… 이상돈 비대위원 기자간담회
입력 2012-01-24 23:25
한나라당이 중앙당을 전국위원회 체제로 바꾸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르면 다음 달 초 당명을 바꾸는 작업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릐중앙당 간판은 ‘전국위’로, 당 대표직 폐지=비상대책위원회 정치쇄신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상돈 비대위원은 24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당을 전국위 체제로 바꾸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없애겠다”며 “국회의원은 원내대표 중심으로, 전국위는 당원 중심으로 당원·국민과의 소통 및 저변확대 기능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의 중앙집권적 중앙당이 전국위 체제로 바뀌게 되면 국회의원이 지방 선출직에 과다하게 관여하는 폐해도 막을 수 있고 당 대표를 뽑기 위해 무한경쟁을 하는 시대도 끝난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은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이 그런 변화를 이룰 기회가 되지 않았나 하는 게 분과위와 쇄신파 의원들의 만장일치 된 생각”이라고 했다.
‘전국위원회-원내대표 중심 체제’는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이 채택하고 있는 정당 형태다. 연방 상·하원에 진출한 의원들은 철저하게 원내대표의 통제에 따라 당론 채택, 법안 심의 등 의회 활동을 해 나간다. 전국위는 당원들이 진행하는 대통령 및 연방의원 후보들의 지역별 예비선거를 관장하고 그 결과를 전체 위원회를 열어 공표한다. 이 위원은 “미국 공화당은 ‘영 리퍼블리컨’ 같은 조직을 만들어 굉장히 성공했다”고 강조했다. 현재 한나라당 전국위는 전당대회 소집 의결기능 등만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에 반발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홍사덕 의원은 “비대위에 권력을 집중시켜 준 것은 당을 갖고 실험하라는 취지가 아니었다. 미국과는 헌정사의 흐름과 배경, 문화가 다르다”고 지적했다. 김영우 제1사무부총장도 “만약 전국위 의장 선거를 할 때 또 돈 봉투 사건이 일어나면 어떻게 할 것이냐”고 반문했다.
릐당명 개정도 본격 추진=당 부설 여의도연구소는 설 연휴 직전 의원 및 원외 당협위원장에게 당명 개정에 대한 찬반을 물었다. 핵심 관계자는 “당명 개정에 ‘찬성한다’ ‘반대한다’ ‘모르겠다’는 의견 중 찬성 답변이 과반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는 박근혜 위원장의 의지에 따라 실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위원장은 지난 17일 의원총회에서 “여러분이 원하면 바꿀 것이며, 원하지 않으면 안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비대위는 26일 전체회의에서 개정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 개정으로 가닥이 잡히면 다음 달 3일쯤 전국위를 소집해 당헌 개정안을 의결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