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 수도권 예비후보 등록 대조적… 與 ‘썰렁’- 野 ‘북적’
입력 2012-01-24 21:49
4·11 총선에 출사표를 던진 야권 예비후보들이 수도권으로 몰려들고 있다. 임기 말에 이른 이명박 정부 심판론이 총선의 최대 이슈로 떠오르면서 야권의 승리가 예상되자 예비 후보들이 너도나도 이들 정당의 공천을 받겠다고 줄을 서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한나라당은 2008년 총선에 비해 예비후보가 현저히 줄어들어 썰렁한 분위기마저 자아내고 있다.
2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전국 245개 선거구에 등록한 예비후보는 1501명으로, 평균 경쟁률이 6.1대 1에 달한다. 서울의 경우 민주통합당 예비후보가 151명으로 한나라당(75명)에 비해 배 이상 많았다. 18대 국회에서 원내교섭단체도 구성하지 못했던 통합진보당에도 42명의 예비후보가 몰렸다. 일부 지역에는 민주통합당 예비후보 간 공천 경쟁률이 이미 10대 1을 넘기도 했다.
인천과 경기도에서도 민주통합당 예비후보가 각각 34명과 139명으로, 한나라당(인천 31명, 경기 123명)보다 많았다. 민주통합당 관계자는 “디도스 파문에 돈 봉투 사건까지 각종 악재가 한나라당에 겹치면서 야권의 수도권 약진이 예상된다”며 “예비후보 등록현황도 이 트렌드를 그대로 보여주는 셈”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텃밭’으로 여겨지는 부산·경남(PK)지역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예비후보 수가 한나라당과 엇비슷할 정도로 야권 공천을 노리는 정치인들이 속출하고 있어서다. 부산은 민주통합당(24명), 통합진보당(14명) 등 야당들의 예비후보 숫자(51명)가 한나라당(54명)에 크게 뒤지지 않고 울산·경남에서는 오히려 한나라당을 앞질렀다.
민주통합당의 문성근 최고위원과 문재인 상임고문 등의 부산 출마 선언에다 경남 김해를 중심으로 한 ‘노풍(盧風·노무현 바람)’ 조짐, 지난해 한진중공업 사태 여파에 따른 통합진보당 강세 등이 그 이유로 꼽힌다.
한국판 ‘스윙 스테이트(Swing State:선거마다 지지성향이 달라지는 지역)’로 꼽히는 충청권의 경우 세종시 문제가 걸린 대전·충남은 민주통합당 예비후보들이, 충북은 한나라당 예비후보들이 다수를 차지했다. 자유선진당은 충북에서 단 두 명의 예비후보만 출마 의사를 보여 충청권 민심을 대변한다는 당 슬로건을 무색케 했다. 강원과 제주 지역은 한나라당과 민주통합당 예비후보가 각축전 양상이다.
한편 수십년 동안 여야의 지지 구도에 변화가 없는 대구·경북(TK)과 호남권은 각각 한나라당과 민주통합당의 공천을 얻겠다는 예비후보들이 다른 정당을 압도하고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