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돈봉투’ 와중에 불법 선거운동이라니

입력 2012-01-24 17:48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4·11 총선과 관련한 불법 선거운동이 442건이나 적발됐다고 한다. 381건에 대해선 경고조치했고, 검찰에 고발되거나 수사 의뢰된 경우는 59건이다. 총선까지 70여일 남았으나 벌써부터 불·탈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사상 최대의 물갈이가 예상되면서 신진 인사들이 대거 각 당 예비후보로 등록, 공천을 따내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총선에 나설 예비후보는 1500명에 육박한다. 평균 경쟁률은 6대1이다.

문제는 불법 선거운동이 좀처럼 가라앉을 것 같지 않다는 데 있다. 기득권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현역 의원이나 각 지역 당협위원장들과 이를 빼앗으려는 정치 신인들 간의 싸움이 앞으로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라면 흑색선전과 고소·고발사태, 금품 살포 등 우리나라의 고질인 후진적 선거문화가 고스란히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선거운동이 전면 허용됨에 따라 사이버공간에서의 네거티브 캠페인도 우려된다.

‘전당대회 돈봉투’ 파문에서 정치권이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 작금의 현실이다. 이런 와중에 불·탈법 선거를 자행하다니, 일부 정치인들은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한 모양이다. 선관위는 앞으로도 두 눈을 부릅뜨고 선거 분위기를 혼탁하게 만드는 후보들을 철저히 단속해야 할 것이다. 검·경은 총선 8개월 후에 대선이 치러진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국회의원 당선에 눈이 멀어 법에 어긋나는 선거운동을 한 후보들을 적발하는 대로 처벌 절차를 빠르게 밟아야 한다.

설 연휴에 확인된 민심 중 하나가 깨끗한 정치를 구현하라는 요구다. 여야는 이를 유념해 불·탈법 행위를 저지른 후보들을 공천에서 배제해야 마땅하다. 궁극적으로는 유권자들이 주인의식과 책임의식을 다잡아야 할 것 같다. 여야 모두가 환골탈태하지 않을 수 없도록 강한 힘을 보여준 유권자들이 이번 총선에서도 구태의연한 선거문화에 경종을 울리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