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부산 고속버스 상행없이 하행만 이상한 질주

입력 2012-01-20 17:35

운행 첫날부터 파행을 겪고 있는 서울∼서부산 노선 고속버스 운행이 당분간 하행선만 승객을 태우는 반쪽짜리 노선이 될 전망이다.

20일 부산 서부터미널과 전국고속버스조합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조합은 국토해양부로부터 서울∼서부산 노선 운행인가를 받은 뒤 서부터미널에 수차례 운행에 필요한 매표 등에 관한 협조요청을 했다. 하지만 터미널 측은 리모델링 공사를 이유로 시설이용계약을 미루는 상태다.

조합 측은 터미널 측에 3차례 실무자를 파견하고 협조공문을 보냈지만 시설이용계약을 체결하지 못했다. 조합 측은 운행인가 해지시점인 26일이 다가오자 지난 18일부터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게 됐다. 이 바람에 운행 첫날 고속버스가 터미널에 진입하지 못한 채 승객들을 도로에 내리는 상황이 벌어졌다.

조합 측은 터미널 측이 터미널 이용을 차별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터미널 측이 직접 운영하는 여객사의 서울행 시외버스 노선의 경우 한 달 앞서 운행을 시작할 수 있게 하면서도 고속버스 업체엔 리모델링을 이유로 계약을 연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합 관계자는 “서부터미널은 운송사업자가 터미널을 소유하고 운영하는 특이한 구조인데 그동안 서울행 시외버스 인가만 받아두고 타 운송업체의 진입을 막아오다 고속버스 운행이 임박하자 노선 선점 차원에서 운행을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럼에도 신규 고속버스 노선 인가자에게는 리모델링을 이유로 시설이용계약을 미루는 이중적 행태를 보이는 등 현행법을 어겼다”고 지적했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르면 터미널 사업자는 부당하게 터미널 시설의 사용을 제한하지 말아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시·도지사는 중지·개선명령을 내려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부터미널 관계자는 “19개 업체가 터미널에 입주하고 있어 주차공간이 부족하고 당장 리모델링 준공허가가 중요하다”면서 “상행 운행도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합과 터미널과의 계약이 미뤄지면서 서부산 시민들은 서울행 고속버스를 이용하려면 여전히 노포동 종합버스터미널을 이용해야하는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