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설 연휴 이후 본격화될 여야 공천 전쟁

입력 2012-01-20 17:19

한나라, ‘교체지수’가 낙점 가른다

민주당, 호남 물갈이 폭 최대 이슈


설 이후 정치권의 공천 전쟁이 불을 뿜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이달 중으로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을 완료할 방침이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20일 현역의원들의 공천과 낙천을 가를 수 있는 기준선을 언급했다. 정치쇄신분과위원장인 이상돈 비대위원은 “가장 결정적인 점수차는 ‘경쟁력’보다 ‘교체지수’에서 크게 날 것으로 본다. (결과를) 좌우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비대위가 확정한 ‘지역구 의원 25% 공천 배제’의 세부안을 제시한 셈이다. 그는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과거 공심위가 재량을 남용해 자의적으로 현역을 탈락시켰는데 이번에는 여론조사를 통해 비교적 많은 사람이 동의하는 기준으로 현역의 25%를 공천에서 배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은 공천심사에 반영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역량지수에 대해 “블로그나 미디어 노출에 기량이 있는 현역이나 신인에게 가점을 주는 것이기에 조금 유리한 것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박근혜 위원장이 공천기준을 예외 없이 적용할 생각이어서 당내 반발도 커지는 상황이다. 정몽준 전 대표는 한 종편에 나와 ‘25% 공천배제’와 관련, “출마를 포기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 출마할 테고 다른 당에 갈 수도 있다”면서 “선거에서 우리 스스로 자해행위를 하면 안 되지 않겠느냐”고 비판했다.

야권에서도 벌써부터 기 싸움이 벌어지는 형국이다. 통합진보당은 민주통합당이 한나라당과 석패율제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한명숙 대표에게 여당과의 교섭 당사자인 김진표 원내대표의 교체까지 요구했다. 이정희 공동대표는 이날 트위터에 김 원내대표가 야권연대의 ‘결정적 걸림돌’이라고 공격했다. 공천 경쟁에서 선점을 하려는 성격이 짙다.

일단 민주당은 최대한 빨리 공천 기준과 원칙을 정할 계획이다. 공천은 크게 예비심사, 본심사의 전략공천과 국민참여경선 2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다. 가장 큰 관심은 호남 물갈이 비율이다. 다수의 중진 의원들이 탈(脫)호남을 선언한 상황이어서 그 폭이 커질 공산이 다분하다. 공심위는 현역의원의 의정활동이나 지역민심 등에 대한 다면평가를 통해 점수가 낮은 의원들을 공천에서 배제할 것으로 보인다. 호남 지역의 한 재선 의원은 “호남이야말로 공천경쟁이 치열해 이미 검증된 인물이 많다”며 “왜 자꾸 우리만 타깃으로 삼으려고 하느냐”고 불만을 터뜨렸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