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광둥성내 빈발 집단시위 유화적 해결… 시험대 오른 ‘왕양식 모델’

입력 2012-01-19 19:34

‘왕양식 모델’은 중국 내에서 빈발하는 집단시위를 해결하는 ‘모법 답안’으로 과연 자리잡을 것인가. 중국에서 가장 먼저 개방된 광둥성의 왕양(汪洋) 서기가 추구하는 농민들의 집단 민원에 대한 유화적인 해결 방식이 다시 한 번 논란의 초점이 되고 있다.

왕 서기는 최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가 발행하는 잡지 ‘치우스(求是)’에 장문의 글을 기고, “인민의 이익을 최우선에 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인민들의 민주적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가 선정을 베풀려면 보다 더 과학적이고 목표지향적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우칸촌 사태’ 당시 시위지도자가 고문으로 사망하는 상황에까지 갔지만 결국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사태를 해결했던 기조를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이다. 이에 대해 강경파들은 왕 서기의 유연한 접근 방식이 향후 더 많은 집단 시위를 불러올 것이라고 비판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왕 서기는 광저우(廣州)시 바이윈(白雲)구 왕강(望崗)촌 주민들이 관리들의 부당한 토지 거래를 둘러싸고 집단 시위를 벌이자 이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문제 해결에 나섰다. 왕 서기는 이번 사태에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왕강촌이 ‘제2의 우칸’이 되지 않도록 하라는 지시를 광저우시에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광저우시는 셰사오단(謝曉丹) 광저우 부시장을 시위 현장에 보내 마을 대표들에게 철저한 진상 조사와 함께 왕강촌 당 위원회 선거를 중단시키겠다고 약속했다. 광저우시는 일부 시위대가 약속을 문서화해줄 것을 요구하자 이를 받아들인 뒤 시위대가 마을로 돌아갈 교통편까지 마련해줬다.

합의서는 왕강촌 금융 기록에 대한 제3자의 회계감사 실시와 함께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촌 당위원회 선거를 연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