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비대위원장, 수도권 출마설 정면 반박… “정치 안 하면 안했지 지역구 안 옮겨”

입력 2012-01-19 19:11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4월 총선 출마 문제와 관련해 “지역에 뼈를 묻겠다고 지역민들과 약속했는데 왜 다른 데로 (지역구를) 옮기느냐”며 “저는 정치를 안 하면 안 했지 그런 식으로는 안 한다”고 밝혔다. 친이명박계를 중심으로 제기된 박 위원장의 수도권 출마설을 정면으로 반박한 셈이다.

박 위원장은 19일 출입기자들과 점심을 같이한 자리에서 총선 불출마 문제에 대해 “제가 단독으로 결정해서는 안 되고 지역민들과 충분히 상의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공천과 관련, “참신한 정치신인과 국회를 잘 아는 분들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형태가 중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국민이 싫어하는데 당이 공천을 하는 것은 안 된다. 인재영입에서부터 당이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정부의 KTX 민영화 방침에 “서두를 게 아니라 비전을 가져야 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고, 미디어렙에 대해서는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수장학회’ 논란에는 “이미 환원이 돼 있는데 또 환원을 하느냐”면서 “지난 정부에서도 이걸로 뭐든 해보려고 했지만 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비대위는 이날 ‘현역 지역구의원 25% 공천배제’ 등을 골자로 한 공천기준을 확정했다. 일각에서 제기한 권역별, 지역별 적용안 대신 비대위 원안인 전국 일괄적용 안이 결정됐다. 이에 따라 지역구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경쟁력(50%)과 교체지수(50%)에 대한 객관적 평가기준을 마련한 뒤 이 기준에 따라 하위 25%의 현역의원을 지역 구분 없이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게 된다. 다만 조사 결과 특정지역이 불합리하게 나올 경우 공천심사위원회에서 다시 논의해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수도권 의원들은 전국적으로 일률 적용하면 영남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심이 좋지 않은 수도권만 몰살될 수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불출마 의원을 제외한 현역의원 136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72명이 서울·인천·경기 지역에 해당된다. 서울지역 초선 의원은 “교체 평가기준을 여론조사를 통해 만들 텐데 그러면 수도권 의원들이 대부분 하위권을 차지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공계 출신 인사들에 대해 여성 신인에게 주는 혜택과 유사한 10∼20%의 가산점을 부여키로 했다. 또 19대 국회 개원이 늦어지면 개원될 때까지 한나라당 의원들은 세비를 받지 않기로 했다. 구속이 되거나 실질적으로 의원으로서 직무수행을 못하는 경우, 예산안을 법정기일 내 통과시키지 못할 때도 세비를 안 받기로 했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