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에 딱 걸린 비리 교수들… 감사원, 연구비 관리 실태 감사
입력 2012-01-19 19:06
지도학생의 인건비나 장학금을 빼돌려 사적으로 사용한 교수 10명이 감사원에 적발돼 업무상 횡령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게 됐다. 교수가 연구원 인건비를 ‘상납’ 받는 장면도 드러났다. 일부 국립대는 편법으로 교직원 인건비를 인상하거나 교비 회계를 조작하기도 했다.
◇학생 인건비 빼돌린 교수들=감사원이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공립대 6곳, 사립대 29곳에 대해 연구개발사업 지원·관리 실태를 감사해 19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모 대학 A교수는 대학원생을 비롯해 연구원 15명이 받은 인건비와 장학금 10억여원을 자신의 명의로 된 계좌에 입금토록 한 뒤 이 중 2억4000여만원을 개인용도로 사용했다. 감사원은 은행 CCTV 촬영기록을 통해 연구원 1∼3명이 통장을 한꺼번에 가져와 전액 현금 또는 수표로 인출한 뒤 이를 A교수 개인계좌에 입금한 사실을 확인했다. A교수는 아예 인건비를 받기 전부터 연구원에게 되돌려줄 금액(1인당 30만∼130만원)과 예약 자동이체일을 자신의 통장에 지정해 놓은 것으로 드러났다.
B교수는 보조연구원 인건비 6억4000여만원을 공동 관리계좌에 입금하게 한 뒤 이 가운데 4억여원을 본인과 가족 명의 계좌에 입금시켜 개인용도로 썼다. C교수의 경우 학교에서 지급하는 교내 장학금 6000여만원까지 학생들에게 자신의 계좌에 입금토록 지시했다. 감사원은 해당 교수들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감사원은 또 7개 대학이 최근 3년간 수행한 연구개발과제 63개를 점검한 결과 연구책임자 26명이 전문성이 없는 자신의 배우자나 자녀 등을 연구에 참여시켜 2억8000여만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회계 조작에 편법 인건비 인상까지=감사원의 대학재정 운용실태 감사 결과에 따르면 국립대 5곳은 2006∼2010년 기성회회계 세출의 23.7% 수준인 연평균 1405억원을 급여보조성 인건비로 지급했다. 충북대는 교직원 급여 수준을 국립대 최상위로 향상시키겠다며 수당을 신설해 인건비 164억원을 부당 인상했다. 전남대도 수당 인상과 신설 등을 통해 인건비 81억원을 증액했다. 감사원은 충북대 전 총장과 전남대 현 총장에 대한 징계를 각각 요구했다. 교직원 인건비 인상은 곧바로 등록금 인상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 서울대 등 대학 5곳이 회계장부에 기록·관리되지 않는 ‘부외계좌’로 발전기금과 시설사용료 수입 등을 부당하게 관리한 사실도 적발했다. 특히 서울대 교수 2명은 4300여만원을 개인의 카드 결제대금 등에 쓰기도 했다.
김진홍 기자 j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