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 게이트’ 일파만파… 정태근 “靑 CNK의혹 조사, 박영준 반발로 유야무야”
입력 2012-01-19 21:54
청와대가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업체인 CNK인터내셔널의 주가조작 의혹을 조사했으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제2차관의 반발로 유야무야했다는 주장이 19일 제기됐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는 CNK 오덕균 대표와 외교통상부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를 국정감사 위증 혐의로 검찰에 고발키로 했다. 민주통합당 김진표 원내대표도 이번 사건을 ‘다이아몬드 게이트’로 명명하고 국회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무소속 정태근 의원은 지경위에서 “국정감사 때 오 대표는 주식을 한 주도 매도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727억원의 부당이득 취득이 확인됐다. 김 대사도 위증했다”며 위증죄 고발을 요구했다. 그는 “지난해 2월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조사했지만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금융감독원은 조사에 나서는 데 10개월이 걸렸으며 외교통상부 장관은 자료 은폐 의도가 있었다”면서 감사원장과 외교·지경·법무장관, 금감원장 등이 출석하는 청문회 개최를 촉구했다. 정 의원은 앞서 MBC 라디오에 출연해 “권재진 법무부장관이 지난해 2월 민정수석이었을 때 CNK 주가조작 의혹을 조사해 박 전 차관에게 사퇴를 권유했지만 박 전 차관이 저항해 사퇴가 곧바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이종혁 의원도 “정부와 공공기관 임직원이 업무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를 사리를 채우는 데 이용한 것은 고양이 앞에 생선가게를 맡긴 것으로 묵과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영환 지경위원장은 “이번 일은 관련 부처가 총체적으로 얽힌 대국민 사기극이자 국기문란 사건”이라며 지경위 청문회와 국회 국정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김재균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2010년 2월 CNK가 카메룬 정부에 제출한 조사보고서 확인 결과 탐사지역의 1㎥당 다이아몬드 매장량을 나타내는 품위가 매우 낮아 사실상 개발 타당성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그는 “CNK가 역암층 12억4000만㎥에서 평균 품위 0.34캐럿의 다이아몬드가 발견됐고 전체 매장량이 4억2000만 캐럿에 달한다고 주장했지만 2010년 2월 보고서에는 0.00∼0.05캐럿으로 매장량이 최초 보고서보다 턱없이 낮았다”며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같은 당 최재성 의원은 외교통상통일위에서 “외교부가 2차례나 보도자료를 내는 동안 장·차관은 그 내용의 타당성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는 게 말이 되느냐”면서 박석환 제1차관에게 “당장 사표를 내라”고 압박했다.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출입기자와의 오찬 간담회에서 “보통 안타까운 일이 아니다. 선진국으로 가기 위해 노력하는 상황에서 국민의 힘이 빠진다”면서 “철저히 조사해서 원칙대로 처리하고 필요하면 일벌백계해야 한다.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총선에서 대구 남구에 출마예정인 박 전 차관은 기자들에게 “중소기업이 몇 년에 걸쳐 개발권을 따낸 건 높이 평가해야 한다.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