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백해무익한 전자담배 안전규정 강화하라

입력 2012-01-19 18:26

시판 중인 전자담배에 니코틴, 발암물질, 환경호르몬 등 유해성분이 다량 들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는 19일 “13개 회사의 전자담배 액상 제품 121개를 대상으로 유해성 분석을 한 결과 각종 유해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121개 제품에 함유된 니코틴 농도는 1㎖당 최저치는 0.012㎎, 최대치는 36.15㎎이었다. 니코틴 함량이 제품에 따라 무려 3012배나 차이가 났다. 일반 담배 1개비당 평균 니코틴 함량이 0.05㎎인 점을 감안하면 최저치는 0.24개비, 최대치는 723개비 분량에 해당한다. 검사 대상 모든 제품에서 발암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ℓ당 0.10∼11.81㎎ 검출됐고, 82개 제품에서 환경호르몬인 디에틸프탈레이트(DEP)와 디에틸핵실프탈레이트(DEHP)가 각각 나왔다.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것처럼 전자담배도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백해무익하다. 미국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담배통제센터의 콘스탄틴 바르다바스 연구원은 최근 “전자담배를 5분만 피워도 기도에 수축과 염증 징후가 나타난다”는 연구논문까지 발표했다. 그런데도 상당수 흡연자들은 전자담배를 금연에 이르는 ‘징검다리’로 활용한다. 전자담배와 금연과의 상관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담배 제조회사의 상술에 놀아나고 있는 셈이다. 금연을 위해서는 니코틴 패치·껌 같은 금연 보조제나 처방약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한다.

보건당국은 세계적으로 전자담배를 규제하는 나라가 늘고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노르웨이 스위스는 물론 15년 동안 전자담배를 허용해온 중국도 최근 판금 조치를 취했다. 독일에서는 전자담배를 금지하는 주(州)정부가 늘고 있고, 덴마크 캐나다 오스트리아는 전자담배를 강력히 규제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일반 담배보다 더욱 엄격하게 전자담배에 대한 안전관리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공익단체와 함께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적극 홍보하는 일에도 앞장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