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좋은 교복 싸게 입힌다더니… 담합·특혜로 얼룩진 교복공동구매
입력 2012-01-18 18:41
교복 공동구매가 학교와 교복업체 간 특혜와 가격담합으로 얼룩져 있다는 소문이 사실로 확인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 일부 지역 중·고교 교복 공동구매 추진위원회가 모여 만든 ‘교복 공동구매 추진위원회 연합회’(교복연합회)가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교복업체와 담합, 비싼 교복을 구매토록 한 사실을 최근 감사에서 적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시교육청은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임의로 교복을 구매한 교복연합회 소속 중·고교 16곳 등 학교 20곳과 관할 지역교육지원청에 기관경고를 했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교복연합회는 2009년 2월 중·고교 10여곳의 교복 공동구매 추진위원장이 모여 결성됐다. 이후 교복업자들과 담합해 각 학교의 교복 공동구매에 특정업체가 낙찰되도록 개입했다.
관련 규정에 따르면 각 학교에서는 학부모로 구성된 교복 공동구매 추진위가 학운위의 심의 결정에 따라 교복 공동·일괄구매를 추진해야 하고 교복연합회는 단순히 정보 교류 정도만 할 수 있다.
하지만 교복연합회 집행부는 2010년 5월 중·고교 8곳이 하복을 구매할 때 교복업체 4곳의 대리점 사장을 불러 가격을 협상하고 각 학교 교복 공동구매 추진위를 대신해 계약했다. 지난해 5월 중·고교 12곳이 하복을 구매할 때도 교복업체 3곳과 미리 가격을 협상했으며, 지난해 10월에는 교복업체와 올해 동복 공급 가격을 협상해 각 학교에 통보했다.
가격 담합으로 불이익을 당하는 학교도 생겨났다. 2010년 A중학교의 교복 공동구매 추진위가 2011년 동복 공동구매를 추진하면서 최저가인 13만6000원에 입찰한 교복업체와 계약하려 했지만 낙찰업체가 “연합회와 메이저 교복업체 4곳이 교복 가격을 14만원으로 협의했으니 4000원 인상해 달라”고 요구해 수용해야 했다.
각 학교 교복 공동구매 추진위가 입찰 업체를 평가해 최적의 조건을 내민 업체 1곳만 낙찰해야 한다는 규정도 지켜지지 않았다. 2010∼2011년 이 지역 중·고교 13곳은 응찰한 교복업체 4개 회사의 공급가를 똑같이 맞춰 4곳 모두와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일부 중학교의 교복 공동구매 추진위원회는 최고가를 제시한 업체에 더 높은 가격평가 점수를 주기도 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무모와 업체 간 접대 의혹은 권한 밖이라 조사하지 않았다”며 “각 학교 학운위가 교복 공동구매 과정을 제대로 심의하도록 학교와 교육지원청 지도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