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타는 농업은 끝”… 유기농에 승부건다

입력 2012-01-18 18:31

“유기농으로 자유무역협정(FTA)의 파고를 넘는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한·미 FTA 등으로 인해 타격이 큰 농업의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유기농 육성에 집중하는 농정을 펴고 있다.

전남도는 올해를 ‘유기농 성공 정착의 해’로 정하고 유기농을 통한 ‘잘 사는 농업인, 행복한 소비자, 건강한 자연’을 일궈 농업 운명을 바꿔나가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친환경농업의 정책방향을 유기농 전문교육 강화와 유기인증농가 재해보험료 100% 지원, 친환경농업기금 장기저리 지원 등 유기농 확산에 중점을 두고 각종 시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세계 최고의 유기농을 실현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 지난 17일 친환경 농업인 등 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기농 성공 다짐대회를 갖기도 했다.

충북도는 세계적인 유기농 허브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다. 2020년까지 민간자본 6500억원 포함한 1조원을 쏟아 부을 계획이다. 도는 오는 31일 전국 처음으로 ‘유기농 특화도(道)’ 선포식을 갖는다.

도는 1000㏊ 규모 광역친환경농업단지를 8곳으로, 20∼100㏊ 유기농업단지를 20곳으로, 20㏊ 녹색농업단지를 210곳으로 각각 늘리고 유기농 생태마을도 12곳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올해 ‘친환경 유기농 특화구역 조성 및 유기농 명인 지정에 관한 지원 조례’를 제정할 방침이다.

2015년 세계 유기농엑스포를 유치한 충북 괴산군은 이에 발 맞춰 최근 ‘유기농업 군(郡)’ 선포식을 가졌다. 화학비료와 농약 오염으로부터 토양을 보호하고 유기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을 확립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군은 조만간 유기농 투자 규모와 유기농업 인증면적 확대 등에 관한 4개년 계획을 만들어 발표할 예정이다.

이 밖에 청원군은 유기농 농산물에 대한 소비가 늘자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유기농법을 집중 교육해 29명의 유기농 기능사를 배출하기도 했다.

전종화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한·미FTA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우리 농업을 살릴 수 있는 길은 친환경 유기농업”이라며 “이를 통해 수입산 농산물과 차별화하겠다”고 말했다.

전국종합=이상일 기자 silee06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