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아지 요리보다 도산 방지책 내놔라”… 낙농육우협회 전국 시위

입력 2012-01-16 18:45

육우값 폭락에 항의하고 대책을 촉구하는 낙농·육우 농민들의 집회와 기자회견이 16일 전국 곳곳에서 열렸다.

한국낙농육우협회 회원 100여명은 오전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농가들이 도산하고 소들이 죽어가는 데도 정부는 근본적 대책 없이 ‘송아지 요리개발’ 같은 한가한 대책이나 내놓고 있다”며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어 “육우값 폭락을 계속 방치할 경우 대규모 상경집회나 기습시위 등 정부 상대 투쟁을 벌이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농민들은 ‘소를 데려올 경우 정책자금을 중단하고 구제역이 발생에 대한 구상권을 청구하겠다’는 농림수산식품부의 방침에 소를 끌고 오지는 않았다.

이승호 낙농육우협회 회장은 “정부가 외국산 쇠고기 수입을 확대하고 있으나 육우 대책은 방치하고 있다”며 “정부가 농가 입장에서 특별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국내 축산업의 기반이 붕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협회 경북도지회 회원 50여명도 경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육우송아지를 긴급 수매하고 최저사육비 지원방안을 즉각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협회 전북도지회 농민들은 “육우를 굶겨 죽인 순창 농장주에 대해 동물학대죄를 묻는 것은 파렴치하다”면서 “소 사육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 정부에 ‘농민 학대죄’를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따졌다.

경기, 강원, 충북, 경남도지회 회원들도 각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한 뒤 도지사와 면담을 했다. 이들은 입식 장려금 지원을 비롯한 육우송아지 입식 정상화 대책, 육우 군납 확대, 육우전문식당 개설 지원을 비롯한 육우소비 확대책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무이자 사료구매자금 지원 등 농가 경영안정 대책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 농림수산식품부, 행정안전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은 소 값 하락에도 쇠고기 가격이 여전히 높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가격왜곡 조사에 착수했다. 조만간 실태조사 결과와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특히 생산자단체 중심의 대형 가공유통업체를 육성해 종전 5단계의 유통단계를 3단계로 줄이기로 했다.

전국종합=김재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