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號 “공천혁명” 호남권 주타깃 될 듯
입력 2012-01-16 21:50
두 달여간의 새 지도부 선출 장정을 끝낸 민주통합당은 어떻게 공천 개혁에 착수할까. 조만간 총선기획단 및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에 나서는 한명숙호(號)의 공천 원칙은 대략 ‘물갈이론’과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로 요약된다.
◇대대적 물갈이 바람=한명숙 대표를 비롯해 지도부 모두가 경선 과정에서 ‘공천 혁명’을 다짐했던 만큼, 대대적인 인적 쇄신 바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나라당이 이미 물갈이에 착수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공천개혁 바람이 현역의원 대폭 교체로 분출된다면 가장 큰 타깃은 수도권과 호남권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지난 18대 총선에서 크게 패배했던 서울·경기 지역은 이번엔 우세지역으로 변모했다. 너도 나도 공천을 받겠다는 인물이 넘쳐난다. 지도부는 야권통합 명분에 맞고 젊은 세대의 지지를 끌어낼 인물을 대거 공천한다는 방침이다.
현역·다선 의원 비중이 높은 호남권은 인물교체 비율이 가장 높을 것이라는 예측이 당 안팎에 팽배하다. 그러나 지도부가 물갈이를 밀어붙일 경우 부작용도 예상된다. 호남의 한 의원은 16일 “공천 때마다 호남은 물갈이 폭풍을 맞았다. 무슨 동네북도 아니고…”라고 했다. 공천 결과가 심각한 당내 분란으로 이어질 소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친노(親盧) 입김+진보성향 강화=새로 구성된 지도부의 노선은 구민주당 시절보다 훨씬 더 선명해졌고 총선에서 보수 세력과의 치열한 이념 경쟁도 불사할 각오다. 따라서 전통 야당세력보다 좀 더 ‘왼쪽에 있는’ 친노무현 세력이 다수 공천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시민사회계와 한국노총 등도 공천 몫을 주장하고 있어 진보성향 인물들이 공천 대상에 대거 포함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지도부 경선에서와 같이 모바일 선거 방식의 오픈프라이머리로 공천 대상자를 뽑는다면, 역대 어떤 총선보다 야당 후보들의 색깔은 진보적이 될 수 있다.
◇공천도 야권연대?=통합진보당은 이날 총선에서 정당지지율을 근거로 공천하는 야권연대 형태를 공식 제안했다. 광역별로 양당 지지율에 따라 공천 지역수를 배분한 다음 각 당에서 단일 후보만을 공천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민주통합당은 이 제안 전부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현역 물갈이에 당내 세력 배분, 오픈프라이머리 등에도 신경 써야 하는 상황에서 통합진보당까지 챙겨주기가 벅차다는 것이다. 민주통합당 관계자는 “참여경선이 기본 원칙이어서 공천 나눠먹기를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