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교체지수 반영 ‘민심잃은 현역’ 솎아낸다… 한나라당 공천 가이드라인 확정

입력 2012-01-16 21:49


한나라당이 16일 ‘국민 눈높이’에 맞춘 4월 총선 지역구 공천 가이드라인을 사실상 확정함에 따라 설 연휴를 앞두고 공천 물갈이 태풍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당이 제시한 공천안 핵심은 현역의원 25% 공천 원천 배제와 전략공천 20%, 개방형 국민경선제 등으로 요약된다. 벌써 전통적인 텃밭을 중심으로 의원들이 날카로운 반응을 보이면서 갑론을박이 치열하다.

◇윤곽 드러낸 ‘공천안’…술렁이는 ‘텃밭’=지역구 공천 기준은 교체지수, 경쟁력, 의정활동, 지역구 활동 등 4가지다. 이 중 여론조사가 좌우할 교체지수와 경쟁력을 기준으로 하위 25%, 34명을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겠다는 것이고 여기에 전체 지역구 중 20%, 49곳에 전략공천이 이뤄진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텃밭이 우선 물갈이 대상으로 될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수도권에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강동, 양천, 용산, 성남 분당 등 10여곳과 부산(18)·대구(12)·울산(6)·경남(17)·경북(15) 등 영남권 68개 선거구가 주요 대상이 될 것이란 시각이다. 이들 강세 지역에서 불출마를 선언한 의원은 6명에 불과해 상당수 공천 배제가 예상된다. 대구의 경우 지난 연말 여론조사에서 12곳 중 배영식(중·남구), 주성영(동갑), 홍사덕(서구), 이명규(북갑), 서상기(북을), 박종근(달서갑), 주호영(수성을) 의원 등은 교체지수가 40% 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다. 새 인물에 비해 크게 뒤진다는 얘기다.

비례대표 의원 22명 중 출마의사를 밝힌 16명의 공천 여부도 관심사다. 이정현(광주 서구을), 이영애(충남 부여·청양) 의원 정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도권과 영남권에서 출마를 희망하고 있어 당의 전략공천 방침과 충돌하는 부분이다. 비대위는 또 지역구 의원의 30%를 여성에게 할당하자는 안도 내놓았지만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객관성’ 담보 논란 불가피=이상돈 비대위원은 “여러 기준 중에 이 두 가지(경쟁력과 교체지수) 기준에 의한 여론조사인 만큼 이의 제기가 있을 수 없다”면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최대한 여론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친박근혜계와 쇄신파는 수긍하는 모습이었지만 친이명박계를 비롯한 비주류 측은 문제가 있다는 반응이다.

친박계의 서상기 의원은 “전체적 흐름에 공감한다”고 밝혔고 조원진 의원도 “시스템상 잘 만들어졌다”고 평가했다. 쇄신파의 남경필 의원도 “기본적으로 동의한다”며 “다만 여야 합의를 통한 완전국민경선제가 실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수도권의 친이계 의원은 “‘의정활동’ 등에 의한 평가가 객관적일 수 있는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고 영남권의 한 의원도 “교체지수 산출을 위해 실시될 여론조사의 설문 문항과 결과 등에 대한 공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영남권 의원은 “영남권에서 전략공천은 지지표 이탈이라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며 “수도권에서 전략공천을, 영남에선 경선을 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정치 신인들은 “현역의원 25% 공천 배제가 너무 적다. 현역에 불리한 구조다”라고 지적했다. 17일 의원총회에서 치열한 공방이 불가피해 보인다.

한편 3선의 전재희 의원은 이날 박근혜 비대위원장과 의원들에게 서한을 보내 “국민은 한나라당에 해산명령을 내리고 있다”며 여론조사를 통해 당의 존속 여부를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정재호 기자 j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