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 진화 나선 한나라] 與, 지역구 25% 여성·2030에 공천 검토
입력 2012-01-15 22:40
한나라당이 4·11 총선에서 지역구 공천의 25%를 여성과 20∼30대 젊은층에게 우선 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당 비상대책위 산하 인재영입분과 위원장인 조동성 비대위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인재영입을 위한 지역대표 선발 기준’을 비대위에 보고했다고 15일 밝혔다.
조 위원은 “정치권이 그동안 여성과 20∼30대를 충분히 대변하지 못했다”며 “인구 비율을 감안하면 여성이 국회의원의 50.3%, 20∼30세대가 39%를 차지해야 하지만 당장 현실화하기 어려운 만큼 지역구의 4분의 1에 한해서라도 이 기준을 적용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말하자면 전체 245개 지역구의 4분의 1인 61곳을 기준으로 여성 후보를 31명(50.3%), 2030세대 후보를 24명(39%) 공천하자는 것이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 여성 후보 18명, 30대 후보 10명을 지역구에 공천했던 것을 감안하면 2배가량 늘어나는 셈이다.
조 위원은 “스웨덴 의회를 보면 전체 국회의원의 42%가 여성이고 20대와 30대 의원도 상당히 많다”며 “스웨덴과 우리의 정치현실이 달라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도 그런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번 총선에서 성별·연령별 인구비례를 적용하자는 ‘25%룰’은 앞으로 정치 신인을 영입하는 인재영입 기준이기도 하다”며 “2016년 총선에는 지역구 공천의 50%까지 여성과 젊은층에 우선 배려하는 중장기 비전도 제안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재영입분과는 비례대표 공천에서도 비정규직, 이주여성, 탈북자 등 소외계층에 25%를 배정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또 정책쇄신분과는 여성과 사회적 약자 공천 후보자에게 20%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하지만 후보자 자격심사 과정에서 여성과 20∼30대 후보에게 가산점을 주고 우선 배려한다고 하더라도 이번 지역구 공천에서 도입될 ‘개방형 국민경선제’에서 이들이 득표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란 지적이 없지 않다.
정재호 기자 j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