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첫 지도부 출범… ‘친노 대표’ 체제, 총선서 구민주 세력 쇠퇴할 수도
입력 2012-01-15 19:23
민주통합당 대표에 친노 출신이 당선된 것은 야권의 판도에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다. 4월 총선에서 구 민주당 세력이 쇠퇴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세력이 득세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새 지도부의 최대 과제는 총선 승리다. 지도부는 이번 주 중 총선기획단을 발족하고 이달 중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빠른 속도로 당을 총선 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선거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좋다.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에 대한 국민 지지도가 크게 떨어진 상태에서 치르기 때문이다. 이번처럼 대선 직전에 총선을 치른 20년 전, 14대 총선 때 야당은 레임덕에 빠진 노태우 정부를 거세게 몰아붙여 3당이 통합한 거대 민자당의 과반의석 확보를 막아냈었다.
그렇다고 승리가 그냥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한나라당이 뼈를 깎는 개혁을 추진하고 있어 민주당 역시 쇄신 경쟁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이다. 쇄신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일 경우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당내 여러 세력이 쇄신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도 그 강도와 방식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어 새 지도부의 리더십이 요구된다.
당권주자들이 경선 과정에서 이구동성으로 공천혁명을 강조했기 때문에 대대적인 인적 쇄신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높다. 이는 현역의원 물갈이론으로 연결될 것이 뻔하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당이 심각한 내홍에 휩싸일 수 있다는 점이다. 지도부의 추진력과 조정능력이 처음으로 시험대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한나라당과의 차별화를 위한 정책 쇄신도 시급한 과제다. 민주당은 야권 통합을 추진하면서 시민사회의 요구를 수용해 정강·정책을 크게 ‘좌클릭’한 상태다. 총선을 앞두고 정책을 다듬는 과정에서 통합세력 간 정책 노선 투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최근 미디어렙법, 론스타 국정조사 문제 등을 놓고 통합 주체 간 갈등을 빚었던 사실은 정책 쇄신이 쉽지 않을 것임을 잘 보여준다.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 역시 새 지도부가 부여받은 임무다. 통합진보당은 통합이 아닌 후보단일화를 통한 선거연대에 관심을 갖고 있어, 후보단일화 과정에서 민주통합당의 양보 수위를 놓고 당내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
정당 혁신도 새 지도부가 신경써야 할 부분이다. 시민통합당 인사들은 시민참여정당을 표방하며 온·오프라인 정당 실현이라는 새로운 정당모형을 제시해놓은 상태다. 이에 대해 구 민주당 일부 세력이 난색을 표하고 있어 지도부의 조정능력이 요구된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