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당 접수한 ‘친노’ 지도부의 과제
입력 2012-01-15 22:08
친(親)노무현 세력이 제1야당을 접수했다. 민주통합당이 첫 번째 지도부를 뽑기 위해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어제 개최한 전당대회 결과 친노 인사들이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 대표와 최고위원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노무현 정부 퇴진과 함께 정치권에서 물러났던 세력이 4년여 만에 중앙정치 전면에 복귀한 반면 구(舊)민주당은 비주류로 밀려났다. 지난해부터 거세게 몰아치고 있는 기존 정당에 대한 불신감이 다시 표출된 셈이다.
임기 2년의 민주당 지도부에게 주어진 최우선 과제는 오는 12월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갖고 있는 4·11 총선에서의 승리일 것이다. 이를 위해 한나라당과 마찬가지로 민주당 역시 물갈이 바람이 거셀 조짐이다. 경선과정에서도 ‘공천혁명’이 강조됐다. 총 79만여명의 선거인단으로 경선을 치른 여세를 몰아 시민참여 폭을 더 넓혀 인적 쇄신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구민주당 세력들과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새 지도부가 어떤 리더십을 보여줄지 관심이다.
민주당의 정강·정책은 통합단계에서 시민사회 요구 때문에 이미 ‘좌(左)’로 많이 기울었다. 하지만 통합이 깨질 것을 지나치게 우려한 나머지 좌파성향이 강한 당내 소수 목소리에 더 이상 끌려 다녀선 안 된다. 또 복지는 점차 확대해나가되 국가 재정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무책임한 포퓰리즘은 자제해야 한다. 북한에 김정은 체제가 안착되려면 시간이 필요한 만큼 남북관계도 신중히 접근해야지, 서두를 일이 아니다. 이는 민주당이 수권정당 이미지를 공고히 하기 위한 조건들이다.
온·오프라인 정당을 향한 발걸음도 빨라질 듯하다. 그러나 민주당 지도부 경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시민선거인단의 경우 연령과 지역 대표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보완책 없이 시민들 숫자만 늘릴 경우 민심이 왜곡될 우려가 있다는 점을 민주당은 유념해야 한다. 아울러 민주당 지도부는 이번 경선 ‘돈봉투’ 의혹에 대해서도 검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