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방폐장 ‘안전성’ 논란… 工期 30개월 연장했었는데 또 18개월 늘려

입력 2012-01-13 19:16

경북 경주시 양북면에 건설 중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이하 방폐장)의 준공시기가 당초 예정보다 18개월 연기돼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13일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경주 방폐장 건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 6개의 방폐장 처분동굴(사일로) 중 1·2번 사일로에 해당되는 암반이 당초 설계보다 연약해 보강공사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공단 측은 방폐장 6개 사일로 중 1·2번 사일로의 지반을 당초 3등급으로 예상했으나 굴착과정에서 전체 80% 가량이 4∼5등급 암반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3∼6번 사일로의 암반은 2∼3등급으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이다.

또 당초 굴착공사 때 나오는 지하수량도 문제가 되고 있다. 지하로 파들어 가고 굴착 면적이 넓어지면서 당초 하루 300t가량으로 예상했던 배출 지하수가 하루 2500여t에 달했다.

이에 따라 사일로 굴착과 구조물 보강, 진입동굴 포장, 시운전 기간을 감안하면 공기 연장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준공시기는 당초 목표인 올 12월보다 18개월 늦춰진 2014년 6월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사업비도 당초 1조5000억원에서 300억∼1000억원 가량 추가되게 됐다.

송명재 이사장은 “공기 연장에 대해 죄송한 마음”이라며 “지하시설 공사 환경이 당초 예상과 달라져 무리하게 공사를 추진하기보다는 안전이 최우선이라고 판단해 공기를 연장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원전폐기물 처리에 있어 국내 원전별로 2014년 이후 포화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돼 공기연장에 따른 폐기물 관리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공단 측은 이번 공기 연장은 안전성과는 전혀 상관없지만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관련 기관들과 협의해 국내외 전문기관의 안전성 검증을 받을 계획이다.

특히 공단 관계자는 “방폐장 건설공사 시행사는 부분준공을 통해 방폐장 건설과 운영을 병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며 “하지만 방폐물 사업을 총괄하는 공단은 공사기간을 늘려서라도 안전하게 운영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판단해서 준공목표를 늦춘다”고 덧붙였다.

경주 방폐장은 10만 드럼 저장규모의 동굴처분 방식으로 당초 2010년 6월 완공 예정이었다. 그러나 2009년 연약암반으로 인해 1차로 공기를 30개월 연장했었다. 이번에 다시 준공시기가 연기됨으로써 안전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기준으로 종합공정률은 87%에 달하고 있으나 지하시설 공정률은 70%에 머무는 상황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경주환경운동연합 등 4개 단체로 구성된 ‘경주핵안전연대’와 동경주지역주민들은 “공사를 거듭할수록 불안감만 가중되는 방폐장 1단계 공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방폐장 건설현장의 지반이 연약한 탓에 공사를 진행할수록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며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안전장치 확보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경주=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