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9대 핵보유국… 안전지수는 꼴찌”

입력 2012-01-12 19:00

군축 관련 비정부기구(NGO)인 핵위협방지구상(NTI)이 북한을 미국, 러시아, 중국 등과 함께 9대 핵보유국에 포함시키고, 북한의 핵물질 안전지수를 최하위로 평가했다.

NTI는 11일(현지시간) 발표한 ‘핵물질 안전지수’ 보고서에서 북한이 2008년 ‘핵 신고서’를 통해 대략 38.5㎏의 핵무기 제조용 플루토늄 보유 사실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북한은 2년 뒤 영변 핵단지에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를 공개하는 등 사실상 핵보유국이 됐지만, 이를 안전하게 관리하지 못할 우려가 크다고 평가했다.

NTI는 핵무기 제조가 가능한 핵물질 1㎏ 이상을 보유한 32개국과 1㎏ 이하 또는 핵물질을 보유하지 못한 국가 144개국을 대상으로 수량 및 시설, 안전 및 통제수단, 국제적 기준, 국내적 관리 및 능력 등을 고려해 개별지수를 산정해 공개했다.

북한은 34점으로 핵물질 1㎏ 이상 보유 32개국 중 꼴찌다. 1위는 오스트리아(94점)이고 미국(78점) 13위, 일본(68점) 23위, 러시아(65점) 24위, 중국(52점) 27위 등이다. 북한과 함께 이란(46점) 파키스탄(41점)이 최하위권에 속했다.

한국은 핵물질을 보유하지 못한 144개국에 포함됐으며, 전체적인 안전지수는 82점으로 13위에 올랐다.

NTI는 북한 당국이 핵물질을 적절하게 통제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우며, 핵무기비확산조약(NPT) 등 국제사회의 핵통제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아, 핵물질 안전조치가 제대로 준수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후 과도기적 불확실성이 핵물질 안전문제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제사회의 핵위협과 생·화학무기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설립된 NTI는 옛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 핵무기 해체를 주도했던 샘 넌 전 상원의원과 CNN 설립자인 테드 터너 등이 2000년 공동 설립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