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승진기준’ 직원이 직접결정… ‘예측가능’ 6대 인사원칙 발표
입력 2012-01-11 22:03
서울시가 자치단체 중 승진심사기준 수립과정에 직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을 처음 도입한다. 또 실·국장이 직원을 선택하는 드래프트제를 전면 폐지하고 직원에게 부서 선택권을 부여하는 ‘희망 전보제’를 실시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서울시 인사정책의 근간을 이루게 될 공정·소통·책임·감동·공감·성장 등 ‘서울시 6대 인사원칙 실천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이를 통해 예측가능하고 공평한 승진·전보시스템을 만들 계획이다.
박 시장은 “기존의 인사시스템이 성과 중심으로 일하는 공직문화를 조성하는 데 기여했으나 지나친 경쟁으로 피로감이 누적되고 팀워크가 흔들리는 것으로 판단돼 이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실천계획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10월 27일 취임 후 첫 정례간부회의에서 천명한 모두에게 감동을 주고, 함께 공감하며, 일하면서 배우고, 배우면서 성장하는 인사원칙을 구체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우선 인사 부서에서 일방적으로 정했던 승진심사기준 대신 직원들이 기준 수립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행정·기술·기능 분야별 5급 이하 실무직원 20명 안팎의 ‘승진심사기준 사전선정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
또 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선도하기 위해 5급 이상 여성관리자 비율을 현재 16%에서 2020년까지 21.6%까지 확대하고 승진이 적체된 소수직렬도 배려하기로 했다.
특히 직원 전보인사 때 각 실·국장이 직원을 선택하던 종전의 방식에서 탈피해 직원 개인에게 희망하는 부서 1∼3개를 선택하게 하고, 희망순위에 우선권을 부여해 인사를 하기로 했다. 5급 이하 직렬대표 직원들이 참여하는 ‘전보기준 사전선정위원회’에서 기준을 결정한다.
시는 전보인사의 경우 경력개발제도(CDP)와 연계해 조직 전체의 경쟁력 상승으로 이어지도록 하고, 선호부서의 연속근무를 제한하고 기피부서는 직위공모제를 통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부서 간 불균형을 해소할 방침이다.
사회적 약자의 공직 진출도 확대된다. 올해 신규 공무원 중 10%를 장애인으로 채용하고, 9급 전체의 10%를 저소득층으로, 9급 기술직의 30%를 고졸자로 채우기로 했다.
김칠호 기자 seven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