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박·反박’ 간판 3인 ‘정몽준·홍준표·김문수’ 첫 회동… 박근혜 견제구 날렸다

입력 2012-01-08 19:21


한나라당 정몽준·홍준표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지사가 8일 이명박 정권 실세 퇴진론을 제기한 김종인·이상돈 비상대책위원의 사퇴를 요구하며 ‘박근혜 비대위’를 정면으로 공격했다. ‘비박(非朴)·반박(反朴)’의 대표주자들이 박 위원장에 대한 본격 견제에 들어갔다는 관측이다. 따라서 박 위원장의 대응 정도에 따라 여당 갈등이 고조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서울 인사동에서 회동을 갖고 선거 패배를 이유로 당 대표가 퇴진 대상에 포함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한 참석자는 “만약 선거 패배에 책임을 물어 용퇴하라고 한다면, 박 위원장은 4·11 총선을 진두지휘한 뒤 패배할 경우 정계에서 은퇴할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정·홍 전 대표는 한나라당이 참패한 2010년 지방선거와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선 당시 당 대표였다.

또 “권력형 부패 전력이 있고 국가 정체성에 문제가 제기된 비대위원이 계속 활동하는 것은 혼란을 초래하므로 박 위원장의 사퇴 용단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김 지사는 “박 위원장이 잘돼야 당이 잘되는 것이므로 우리가 도와줘야 한다”며 “하지만 일부 부적절한 사람이 쇄신을 논하고 단절을 꾀하는 것은 박 위원장을 돕는 게 아니라 당 전체를 더 큰 혼란에 빠뜨리는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3인방’은 또 당 정강·정책의 ‘보수’ 삭제 논란을 거론하며 비대위가 보수우파 진영의 분열을 자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참석자는 “진보좌파는 쓰레기·잔가지까지 긁어모아 선거에 임하는데 보수우파는 한 세력·계파가 독점적으로 당을 운영하면서 경쟁세력을 몰아내고 가지치기를 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고 한다. 홍 전 대표는 “박 위원장이 대란대치(大亂大治) 고사를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창당론과 관련, “쇄신의 강도는 박 위원장이 알아서 할 것으로 믿는다”고 했으며,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도 “명명백백하게 밝혀져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친이명박계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은 자신이 회동에 참석할 경우 계파대결 등으로 비쳐질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