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 원서·실기점수 조작·상품권… 기막힌 ‘사학비리’
입력 2012-01-05 19:04
일부 4년제 사립대학들이 신입생 수를 늘리려고 응시학과명이 안 적힌 ‘백지원서’를 받거나 면접 및 실기점수를 조작해 동점자를 양산, 정원보다 많이 뽑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고등학교 3학년 교사에게 상품권을 주고 학생들이 출석을 하지 않더라도 학점을 주는 등 온갖 편법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교육과학기술부는 일부 대학이 구조조정 이행실적을 허위로 보고하는데도 이를 방치하는 등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
감사원은 지난해 7∼9월 3개월간 교육관련 지표가 부실한 사립대 22곳을 대상으로 학사운영 및 회계관리 실태 감사를 벌여 이 같은 편법과 탈법 사례를 적발했다고 5일 밝혔다.
감사결과 A대학은 교직원들이 응시생 114명에게 입학 후 희망하는 학과로 전과시켜 주겠다는 확약서를 주면서 응시학과가 기재되지 않은 입학원서를 받은 뒤 합격 가능한 학과를 교직원이 직접 기재하거나 입학기준에 미달해도 합격 처리했다.
B대학 등 3곳은 면접·실기점수를 조작해 동점자를 대거 만들어낸 뒤 모집인원보다 많은 응시자를 선발하고 C대학 등 7곳은 교직원 가족 등 39명을 미달학과에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시킨 뒤 출석과 시험을 보지 않았는데도 학점과 학위를 수여했다.
D대학은 최근 3년간 인근 고교 3학년 담임교사 등에게 14억7000여만원의 상품권과 현금 등을 줬고 E대학은 신입생을 추천한 재학생에게 추천학생 1명당 10만원의 ‘발전장학금’을 지급했다.
F대학 등 9곳은 수업을 받기 어려운 원거리 직장인들에게 출석을 하지 않아도 학점을 주거나 주말·야간에 편법으로 단축수업을 하고 800여명에게 학위를 수여했다. 설립자를 명예총장으로 임명해 보수를 지급하거나 설립자 가족에게 주택을 무상 제공한 대학도 4곳에 달했다.
감사원은 등록금 책정·재정운용 분야 등에 대한 최종 감사 결과를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다.
이용웅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