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학교폭력 묵인·은폐땐 장학사 문책”… 11개 산하 교육청 담당자 소집해 전달
입력 2012-01-05 19:03
서울시교육청은 일선 학교에서 발생한 학교폭력 사건이 은폐될 경우 장학사 등 지도·감독 권한자에게 강하게 책임을 묻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5일 11개 지역 교육지원청의 초·중등 생활지도 담당 장학사 22명을 소집해 회의를 열고 학교폭력을 은폐할 경우에 대한 문책방침을 전달했다.
시교육청은 또 학교에서 학교폭력이나 성폭력 사건이 발생하면 교육청 산하 인권교육센터 조사관·조사원을 직접 학교에 파견키로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역 교육지원청 장학사가 직접 학교에 찾아가 조사하지만 시비를 다투는 내용이 있거나 피해 사실 확인이 어려운 경우 장학사의 조사가 정확한지 인권센터 조사관을 직접 파견해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시교육청은 교육청 관계자, 전교조·교총 등 교원단체, 외부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회의를 열었다. 태스크포스는 이달 안에 3차례 집중회의를 하고 ‘왕따’ 피해학생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한 뒤 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학생, 학부모. 교사, 시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및 의견 수렴을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교육청은 1∼2월 중 온·오프라인 대토론회를 마련해 인터넷 홈페이지 토론방에서 학생 의견을 듣고 학생참여위원회에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임항 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