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외교, 김정은 대화 파트너 인정 시사… “합당한 직위 가졌다면 그분과 회담”
입력 2012-01-05 21:49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5일 북한의 새 지도자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을 남북협상의 파트너로 인정할지에 대해 “북한과 회담을 하면서 합당한 직위를 가진 사람이라면 그분과 회담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내외신 정례 브리핑에서 “김 부위원장은 총사령관에 추대됐다는 것과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것이 공식 직책”이라며 “북한에서 그 두 직책이 군사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얼마나 관여하는지 분명치 않기 때문에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 발언은 김정은이 북한 최고지도자임이 공식 확인될 경우 그를 남북정상회담을 포함한 협상 파트너로 인정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김 장관은 오는 3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 김정은을 초청할지에 대해서도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은 북한의 지도자를 초청하면서 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이런 약속을 지키는 조건이라면 얼마든지 초청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이날 올해 업무를 한반도의 안정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지난해 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급작스러운 사망에 따라 불확실성이 높아진 안보 환경에 대비하겠다는 의미다.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폐기할 경우 국제사회가 안전보장과 경제지원을 제공하겠다는 ‘그랜드바긴’(일괄타결) 방침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지난해 ‘평화통일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 형성’을 세부과제로 정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을 자극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김 위원장 사망 후 한반도 정세 부분을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토론에서 북미유럽연합(EU)통상과의 김모(40·여) 1등 서기관은 “여성 외교관들은 마음 놓고 출산을 할 수도 없다”며 이 대통령에게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 두 아이의 엄마인 그는 “공관 근무하면서 둘째 아이를 낳았다. 산후조리와 육아 과정에서 가족의 도움이 절실했지만 남편과 떨어져 있어 혼자서 고군분투했다”고 토로했다. 여성 외교관은 외교부 전체 직원의 약 33%를 차지하고 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