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수용과정, 역사 교과서에 실린다… 교과부, 집필기준 개정 2014년부터 새 교과서 보급
입력 2012-01-02 18:55
기독교의 수용과정이 드디어 역사교과서에 실린다. 역사교과서의 개신교 폄하와 왜곡·축소 문제는 지난 2008년 3월 국민일보의 문제제기 이후 한국교회가 줄기차게 요구해 왔던 이슈로 4년 만에 일부 성과를 얻게 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최근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을 발표하고 ‘신문물 유입으로 인한 사회변화’ 부분에서 ‘개항 이후 개신교의 수용과 각 종교의 활동에 대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서술하도록 유의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고등학생은 한국사 수업 때 기독교의 수용과정을 배울 수 있게 됐다. 개정 교과서는 2014년 전국 고등학교에 보급된다.
국사편찬위원회 한 관계자는 “집필기준은 말 그대로 교과서 집필자들이 그 기준에 따라 교과서를 기술해 달라는 지침과 같다”면서 “이번 기준에 따른 교과서는 2014년부터 고등학생들에게 제공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교과서 집필기준은 수억원을 투자해 교과서를 만들려는 출판사가 교과부 검정을 통과하기 위해 반드시 따라야 하는 기준이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자가 아무리 기독교에 우호적인 입장을 갖고 있더라도 집필기준에 나와 있지 않는다면 서술 자체가 불가능했다.
게다가 이전 한국사 집필기준에는 개항 이후의 종교에 대해 ‘종교에 대해서는 특정 종교에 대한 편향이 없도록 하고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고 명시돼 있었다. 이런 이유로 이 시기에 등장한 기독교에 대한 언급이 전무했던 것이다.
그동안 한국교회바로알리기운동본부와 세계성시화운동본부, 김영진 황우여 국회의원 등은 “집필기준 내 기독교의 수용과 발전에 관한 서술을 가로막는 독소조항이 있다”며 문제점을 지적해 왔다.
일단 기독교 수용과정은 포함됐지만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개정 내용이 ‘교육과정’이라는 상위개념이 아닌 하위개념인 ‘집필기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또 초·중등학교 교과서에 기독교 수용 내용이 여전히 빠져 있다.
교과서 집필기준 개정운동을 주도했던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는 “현재 불교 유교 천주교 천도교 같은 타종교들은 교육과정에 해당 종교의 수용과정과 그 의의를 설명하고 있지만 유독 기독교에 대해서만 집필기준에 머물고 있다”면서 “기독교가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을 생각할 때 교육과정에 반드시 기독교 서술이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는 물론 초·중등학교 교과서에서도 기독교 전래 등이 자세히 소개돼야 할 것”이라면서 “한국교회는 교회사와 용어를 통일하고 교과서 집필자들에게 기독교 자료를 제공하는 데 적극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