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 요구 경청하는 게 국정안정의 기본

입력 2012-01-02 18:39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신년 특별연설을 통해 주요 국정분야에 대한 운영 구상을 밝혔다. 키워드는 ‘안정’이다.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물가를 3%대 초반에서 잡겠으며, 대선과 총선을 공정하게 관리하겠다는 것 등이 핵심이다.

남북관계의 경우 북한이 김정일 조문 문제를 빌미로 “보수패당의 대역죄” 운운하며 현 정권을 연일 비난해 향후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만큼 이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를 최대 과제로 꼽은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일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핵 활동 중단을 조건으로 6자회담 재개 방안을 제시했지만, 북한으로선 김정은 체제가 착근된 이후에나 6자회담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조만간 성과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훗날 북한이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올 수 있도록, 조급증이나 과욕을 버리고 의연하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경제 분야에서는 서민생활 안정이 목표다. 이 대통령은 이를 위해 “성장도 중요하지만 물가에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했고, 임대주택을 더 지어 전·월세 가격을 안정시킬 것도 약속했다. 서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복지정책에도 세심하게 신경 써야 한다.

이 대통령은 잇따른 친·인척 및 측근 비리에 대해 “송구스럽다”고 사과했다. 지난해 도덕적으로 깨끗한 정권이라고 자찬했던 것과 대비된다. 길지 않은 우리나라 대통령사(史)를 되돌아볼 때 대통령 친·인척이나 측근 비리가 레임덕을 자초했던 사례가 많다. 이 대통령도 예외가 아닌 듯하다.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주변을 엄격하게 다루길 기대한다.

이 대통령은 남은 1년여 임기 동안 ‘일하는 대통령’으로 국정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새로운 일을 추진하기보다 벌여놓은 사업들을 제대로 마무리하는 일에 치중하는 게 맞다. 아울러 남은 임기 동안 안정을 꾀하려면 독선을 버리고,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자세를 보여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