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D-100] 정치권 ‘4·11 체제’ 돌입… 민주통합당 “1·15 전대 통해 초반기세 잡는다”
입력 2012-01-01 19:57
2일로 ‘4·11 총선 D-100’을 맞은 정치권이 선거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초반 외부 출신 비상대책위원들과 친이명박계 간 갈등을 겪고 있는 한나라당의 ‘박근혜 비대위’는 당내 반발을 뚫고 정면 돌파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통합당에선 통합세력 내 내홍으로 1·15 전당대회를 통해 초반 기세를 잡겠다는 전략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통합세력 간에 ‘화학적 결합’이 이뤄지지 않은 불협화음이 터져 나오면서 뒤숭숭한 모습이다. 지난 29일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는 도를 넘는 수위의 알력이 노출됐다.
한국노총 금융노조위원장 출신의 김문호 최고위원이 금융산업노조원들과 함께 론스타 사태와 농협의 신·경 분리 구조개편 관련한 대여(對與)협상을 문제 삼으며 국회 원내대표 사무실을 사실상 점거했다. 상대 정당과의 싸움에서나 벌어질 법한 점거농성이 같은 정당 내에서 벌어진 것이다. 김 최고위원은 김진표 원내대표에게 “개판을 치는 것도 아니고 평화적으로 하고 있는 데도 완전히 무시당하고 있다. 이게 무슨 노동자·농민과 함께하는 당인가”라며 “드러누워야 대접받는 것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3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통합당 원내 지도부가 ‘론스타 먹튀’와 농협의 신·경 분리를 막아내지 못한다면 노동계는 최고위원에서 전원 사퇴하고 민주통합당과의 관계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미디어렙 법안을 놓고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다. 민주통합당은 지난 28일 의원총회에서 이 법안을 연내 처리하기로 당론을 모았지만, 민주언론시민연합 출신의 최민희 최고위원과 일부 의원이 불가 입장을 굽히지 않아 결국 처리가 무산됐다.
이처럼 세력 간 갈등이 커지가 구 민주당 쪽에서도 불만이 커지고 있다. 한 의원은 1일 “정당에 들어왔으면 정치를 해야 하는데 시민단체 수준의 운동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민사회 진영 인사들이 ‘이익단체’ 수준의 사고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런 가운데 1·15 전당대회를 향한 당권주자들의 합종연횡 움직임도 눈에 띈다. 대의원·당원·시민 선거인단의 ‘1인2표제’ 투표방식이어서 후보 간 연대와 견제가 당락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는 9∼10일 시민·당원 모바일 투표를 앞두고 있어 조만간 ‘짝짓기’가 가사화될 전망이다.
박지원 후보는 대여투쟁에서 호흡을 맞췄던 박영선 후보에게 ‘박남매’라는 애칭을 언급하며 접근하고 있다. 반면 박영선 후보는 이인영 후보와 함께 뛸 가능성이 있다. 박 후보는 재작년 10·3 전대에 나선 이 후보를 위해 팔을 걷어붙였고, 이 후보는 10·26 서울시장 후보경선 때 박 후보를 적극 도왔다. 486 및 민주세력의 지원을 받는 이 후보와 호남 출신 이강래 후보는 여러 후보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노 세력의 전폭적 지원과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한명숙·문성근 후보가 누구의 손을 잡을지도 관심이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