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0억 투입 낙동강변여과수 개발사업 마찰… 경남도 “남강댐 물 부산 공급 포석” 반발

입력 2012-01-01 18:38

부산과 경남이 낙동강 강변여과수 개발을 앞두고 티격태격하고 있다.

1일 부산시와 경남도에 따르면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는 지난해 말 낙동강 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설계비 100억원과 공사비 및 보상비 등 자체 사업비 230억원 등 330억원을 확보했다.

국토부와 수공은 올해 상반기 낙동강 강변여과수 취수장으로 선정된 경남 창녕 남지지구와 함안 이룡·칠서지구 등 3곳의 관로부분 설계를 발주한 뒤 착공할 계획이다.

이들 3개 지구에 투입될 총사업비는 7008억원으로 공사비 5493억원과 보상비 236억원, 예비비 637억원 등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강변여과수 68만t을 확보해 부산에 62만t, 양산에 6만t을 공급한다는 것이 국토부 등의 구상이다.

부산시 상수도본부는 실시설계 발주를 위한 설계서를 작성한 뒤 강변여과수 취수장 3곳 중 2곳은 턴키입찰을, 1곳은 대안입찰 등을 추진 중이다.

이에 대해 경남지역에서는 강하게 반발하며 각종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개발예정지역 주민들은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등에 따른 재산권 침해와 지하수 수위저하, 가뭄피해 가중, 수변공간 개발사업 차질 등을 들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또 이 사업이 남강댐 물을 부산으로 끌어가려는 사전작업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우선 양산시에 여과수 일부를 공급한다지만 대부분을 부산에 공급하는데 부산 인근 강변을 놔두고 굳이 창녕 남지까지 56㎞에 이르는 대형관을 매설하려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또 부산시가 추가 확보하려는 수돗물이 95만t인데 이번 사업에서 27만t이 모자라는 물량으로 계획한 것도 잘 이해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산·경남=윤봉학 이영재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