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의 해-대선 누가 뛰나] 박근혜, 총선 성적표가 ‘대선 가늠자’
입력 2011-12-30 18:23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5년 5개월 만에 정치 무대에 다시 섰다. 2007년 당 대통령 선거 경선 패배 이후 현직 대통령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며 대선 행보를 자제해 오던 그가 예상치 못한 시기에, 타임 스케줄에 없던 ‘비대위원장’ 타이틀을 갖고 전면 등판한 것이다.
지난달 19일 그는 비대위원장 수락연설에서 “벼랑 끝에 선 절박한 심정으로 이 곳에 섰다”고 했다. 그의 말대로 2012년 새해 벽두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물론 박 비대위원장까지 위기에 처해 있다. 그럼 등 돌린 민심을 추스를 ‘박근혜식’ 해법은 무엇일까.
크게 보면 ‘원칙 있고 절제된 자본주의 틀 안에서 국가는 물론 국민 개개인의 발전을 이루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이 정부가 성장을 중시하며 많은 노력을 했는데, 그 성장의 온기가 국민에게 골고루 퍼지지 못했다는 것이 아쉽고 안타깝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정부 들어 성장 일변도 정책으로 양극화가 심화되고 사회 안전망 붕괴로 서민들의 삶이 위협받고 있는 현실을 우려한 것이다. 평소에도 “국민이 골고루 잘 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말을 해온 그가 보수 진영에서 드물게 복지이슈에 집중하고 있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다.
박 비대위원장은 2010년 12월 사회보장기본법 공청회를 통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를 화두로 던졌고 지난해 11월엔 ‘국민 중심의 한국형 고용복지’ 모델을 제시했다. 최근에는 “이 시대에는 경제정책 따로 복지정책 따로 가는 것이 아니라 복지정책이 경제정책의 중요한 축이라 생각한다”며 “복지와 성장이 선순환을 이루면 재정건전성과 복지가 양립하는 길로 갈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아울러 박 비대위원장은 사회 통합을 중요한 시대적 과제로 꼽고 있다. 이념과 지역을 뛰어넘어 세대간 갈등 양상까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다.
이런 구상들은 1차적으로 ‘박근혜 비대위’를 통해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당장 쇄신 작업을 통해 당을 살리고 민심을 수습한 뒤 ‘4월 총선’이라는 1차 시험대에 올라야 한다. 이 과정에서 박 비대위원장이 정부여당의 일방통행 정치에 냉소를 보이고 있는 수도권 20∼40대의 마음을 얼마만큼 되돌릴 수 있을지, 그야말로 ‘정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그가 안정적 리더십을 넘어서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지도자냐는 의구심도 풀어야 한다. 결국 4월 총선 성적표에 따라 대선 행보 또한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