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공화 주자들 너도나도 ‘北 때리기’… 보수층 지지 얻기 차원 분석
입력 2011-12-29 18:52
미국 공화당 대선주자들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후, 강경한 대북 정책을 주문하고 있다. 공화당 내 본격적인 경선을 앞두고 보수층들을 향한 발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주장들은 경선이 본격화될수록 더욱 강경하게 치달을 것으로 보인다.
뉴트 깅리치 전 하원의장은 28일(현지시간) 아이오와주 메이슨시티의 선거유세에서 향후 한반도정책과 관련, “북한을 지속적으로 압박해야 한다”며 “우리의 궁극적인 목적은 독재정부를 교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북한 군대가 더 두려운지 북한 붕괴가 더 두려운지 흔들리고 있다”고 말해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 완화 움직임을 에둘러 비판했다. 그는 또 “북한의 핵 미사일이 미국에 도달할 위험을 감수해선 안 되기 때문에, 탄도미사일방어(BMD) 체제를 빨리 마무리할 필요가 있다”며 “북한의 어린 새 지도자 때문에 당분간 불안할 것이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셸 바크먼 하원의원도 선거 유세에서 “세상에서 독재자 한 명이 줄었지만 북한 주민들에게 자유의 희망이 나타나고 있다는 징후는 없다”면서 “북한을 테러지원국에 재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 새 지도자가 더 나빠질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는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을 이란, 쿠바, 베네수엘라 등과 함께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깡패국가”라고 비난하면서 “최선의 정책은 북한에 강력한 경제 제재를 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릭 페리 텍사스 주지사는 자신의 저서에서 북한과 이란을 “미국에 직접적인 핵 위협을 가하는 예측 불가능한 국가”라고 규정했다. 존 헌츠먼 전 주중 대사는 김 위원장 사망 이후 “미국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와 함께 북한의 악행과 핵확산을 막기 위해 모든 압박을 가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론 폴 하원의원은 자신의 웹사이트에 “미국과 서방국가는 북한 위협에 과잉반응을 해 왔다”면서 “미국은 한국에 대한 방어를 포기해야 한다”고 불개입을 주장하기도 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