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 칼날 매서운 박근혜 비대위… “MB정권 핵심 물러나라”

입력 2011-12-28 19:08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명박 정권 핵심 실세들의 퇴진을 주장하고 나섰다. MB 정부 내 당권을 장악했던 친이명박계에 대한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예고한 것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박근혜 비대위’의 정책·공천개혁 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상돈 비대위원은 28일 언론과의 접촉에서 “2004년 한나라당이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후폭풍으로 흔들릴 때 최병렬 대표 등이 (정계를) 은퇴하고 새로운 사람이 들어와 (총선에서) 선전했다”며 “국정 실패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 책임을 안 진다면 국민한테 쇄신한다고 말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책임 있는 사람들’에 대해 “당 대표를 지낸 사람이나 현 정권의 공신·핵심으로 거론됐던 사람들 아니겠느냐”고 지목했다. 황영철 비대위 대변인도 라디오에 출연해 27일 비대위 첫 회의에서 “이명박 정부와 선긋기와 관련된 가감 없는 목소리가 나왔다”고 밝혔다.

아울러 비대위는 MB 정권의 경제정책 기조 폐기를 촉구하며, 정책 차별화 행보도 본격화했다. 총선공약 분과위원장인 김종인 비대위원은 “현 정부의 7·4·7공약(매년 7% 경제성장·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7대 경제강국)은 실현 불가능한 허구로 이미 판명됐다”면서 내년 4월 총선에서 성장위주 정책노선과 단절하는 공약을 내세울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1987년 헌법 개정 당시 ‘김종인 조항’이라 불리는 헌법 119조2항 경제민주화 조항 입안을 주도해 이후 정부의 소득재분배와 재벌 시장지배력 남용 금지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총선 공약으로 ‘부자증세(버핏세)’의 구체적인 방향도 제시될 전망이다. 비대위원인 이주영 정책위의장은 “장기자본 차익과세 등 여러 세제를 종합적으로 손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4대강 사업으로 상징되는 이 대통령의 ‘토목경제’에 대한 비판도 시도될 전망이다. 이상돈 위원은 “(4대강 사업) 부작용에 대해 (비대위 차원의) 의사 표명이 있어야 한다. 이 문제를 외면하고 총선으로 가긴 힘들다”고 지적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