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 가볼만한 해돋이·해넘이 명소] 동해안
입력 2011-12-28 18:51
어느 해보다 다사다난했던 신묘년이 토끼 꼬리보다 짧게 남았다. 그리고 임진년의 새해가 수평선 아래서 화려한 해돋이를 준비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2012년 새해 첫날에 섬을 제외한 육지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은 울산 간절곶으로 오전 7시32분. 반면에 2011년의 마지막 해는 충남 태안에서 오후 5시27분, 전북 부안에서는 오후 5시28분에 볼 수 있다. 수평선에서 뜨고 지는 해는 섬이나 낙락장송 등 주변 풍경과 함께 어우러져야 더욱 아름답다. 연말연시를 맞아 해돋이와 해넘이가 아름다운 곳으로 여행을 떠나본다.
해야 솟아라 깊은 어둠 헤치고 새 희망의 해야 솟아라…
망망대해 동해에서 뜨는 해는 베토벤의 운명교향곡처럼 장엄하다. 강원도 고성에서 부산까지 7번국도를 중심으로 바닷가 해안도로는 곳곳이 해맞이 포인트. 갯바위에 뿌리를 내린 소나무를 비롯해 수평선을 오색전구처럼 수놓은 어화, 그리고 아담한 항구와 포구는 동해의 해돋이를 더욱 운치 있게 하는 조연 역할을 한다.
동해안 최북단의 해맞이 장소는 고성군 통일전망대. 금강산을 비롯한 북녘 땅이 손에 잡힐 듯 가까운 통일전망대는 평상시엔 오전 9시부터 입장 수속을 하지만 새해 첫날에는 오전 6시부터 시작된다. 대진등대가 한눈에 들어오는 금강산콘도, 한적한 공현진해변, 가자미물회로 유명한 가진항, 대구탕이 맛있는 거진항도 해맞이 포인트.
‘김일성 별장’을 비롯해 ‘이승만 별장’ 등이 위치한 화진포해변은 드라마 ‘가을동화’ 촬영지로 바다와 호수에서 동시에 해가 솟는다. 새해 첫날에 모듬북 공연, 소망풍선 날리기 등 다채로운 해맞이 행사도 열린다. 철새들이 허허롭게 날아오르는 송지호, 관동팔경 중 으뜸으로 꼽히는 청간정도 해맞이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눈 덮인 설악산을 지붕 삼은 속초시는 해변은 물론 대청봉 등 곳곳이 해맞이 포인트. 파도가 절벽에 부딪칠 때마다 거문고 소리가 난다는 동명항의 영금정을 비롯해 영랑호와 청초호를 배경으로 한 해돋이가 인상적이다. 새해 첫날 속초해맞이공원 등에서 풍등 날리기 등 다채로운 이벤트가 곁들여진다.
해돋이의 고장답게 양양군에는 낙산사, 하조대, 남애해변, 낙산해변, 동호리해변, 물치해변 등 해맞이 명소가 즐비하다. 특히 조선 개국공신인 하륜과 조준이 만년을 보냈다는 하조대는 기암절벽과 노송이 어우러진 육각정으로, 절벽에 뿌리를 내린 노송과 떠오르는 해는 한 폭의 동양화를 연출한다.
강릉시의 해맞이 명소는 서울의 동쪽에 위치한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정동진. 바다와 이웃한 정동진역과 해변을 배경으로 한 해돋이가 예술작품에 가깝다. 드라마 ‘모래시계’로 유명해진 정동진역의 소나무와 모래시계공원은 추억의 공간. 조각공원인 하슬라아트월드와 동해고속도로 옥계휴게소에서 맞는 해돋이도 정동진역 못지않다.
애국가 첫 소절의 배경 화면으로 유명한 추암해변은 동해시를 대표하는 해돋이 명소. 촛대바위를 비롯해 두꺼비바위, 거북바위, 코끼리바위, 부부바위 등 기암괴석들이 어우러져 절경을 연출한다, 추암해변과 오토캠핑장으로 유명한 망상해변에서 달집태우기 등 이벤트가 진행된다.
해안선이 긴 삼척시에는 새천년해안도로를 비롯해 삼척해변, 맹방해변, 용화해변, 덕산해변, 장호해변 등 해맞이 명소가 낭만가도를 따라 이어진다. 신남항, 갈남항, 임원항, 호산항 등 정겨운 항구마을과 남근 조각으로 유명한 해신당공원도 해맞이 포인트. 새천년해안도로 소망의탑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경북 울진은 7번국도와 해안도로를 따라 펼쳐진 한적한 해변과 죽변항 등에서 새해 해돋이의 벅찬 감동을 맛볼 수 있다. 관동팔경 중 하나인 망양정에서의 해돋이가 환상적. 울진군은 새해 첫날 망양해변에서 타악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관광객들에게 떡국 등을 나눠준다.
영덕대게로 유명한 영덕군은 강구항에서 영덕해맞이공원을 거쳐 고래불해수욕장에 이르는 50㎞ 길이의 영덕블루로드 전체가 해맞이 포인트로, 24기의 거대한 풍력발전기가 돌아가는 영덕풍력발전단지는 동해안 최고의 해맞이 명소. 영덕풍력발전단지 아래에 위치한 해맞이공원과 대게발 형상의 창포말등대는 한 폭의 그림.
영덕군은 새해 첫날 삼사해상공원에서 경북대종 타종식을 갖고 달집태우기와 희망 용연 날리기 등 해맞이 행사를 진행한다. 삼사해상공원 인근의 강구항은 영덕대게 경매장이 위치한 항구로 대게찜 찌는 구수한 냄새가 해맞이 관광객들의 발목을 사로잡는다.
호랑이 꼬리로 유명한 포항의 호미곶은 해맞이 관광객들이 발 디딜 틈 없을 정도로 많이 몰리는 곳. 새해 첫날 해뜨는 순간에 120m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생의 손’ 왼손과 오른손에서 레이저 불빛이 나와 서로 손을 맞잡는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해맞이 행사가 끝난 후에는 대형 가마솥에서 끓인 1만명 분의 떡국을 관광객들에게 나눠준다. 장기천이 바다와 만나는 곳에 위치한 신창리의 바위섬은 노송 가지에 걸린 해가 한 폭의 동양화를 방불케 한다.
경주의 해돋이 명소는 감포의 전촌해변과 수증릉으로 유명한 양북의 문무대왕릉. 특히 문무대왕의 호국혼이 깃든 수증릉은 해 뜰 무렵 수천마리의 갈매기들이 음표처럼 날아다녀 신비로움을 더한다. 부챗살 모양으로 누워있는 양남리의 주상절리는 숨어있는 비경.
울기등대와 울창한 송림, 그리고 독특한 모양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대왕암은 울산시를 상징하는 해돋이 명소로 문무대왕의 왕비가 용이 돼 날아가다 떨어져 바위로 변했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간절곶은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으로 5m 높이의 소망우체통과 간절곶등대 등 볼거리도 많다. 새해 첫날에 대형 소망여의주 날리기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동해안 최남단인 부산에는 해운대해수욕장, 동백섬, 광안리해변, 황령산 봉수대, 태종대, 송도해변 등 해돋이 명소가 손에 꼽을 수 없을 정도로 즐비하다. 부산시도 용두산공원과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새해 첫날 축하공연 등 해맞이 행사를 진행한다.
글·사진=박강섭 관광전문기자 kspar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