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시대] 北, 1970년대식 정보정치 재현하나

입력 2011-12-27 18:36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북한에서 1970년대식 정보정치가 재현될 기미가 보이고 있다. 반체제 인사 색출 등을 전담하는 국가안전보위부가 당 간부와 주민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며 각종 김 위원장 추모행사의 전위대 구실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북소식통은 27일 “현재 북한에선 국가안전보위부가 전면에 나서 주민들의 추모행사 참가 태도 등을 정밀하게 감시하고 있다”면서 “이는 김정일 생존 때와는 전혀 다른 행태”라고 말했다.

앞서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NK지식인연대는 26일 “모든 기관과 기업소에 담당제로 파견된 보위부원들이 각급 간부와 노동자, 주민들의 추모행사 참가 태도 등을 감시하고 있다”면서 “마치 70년대 초반 김일성 주석이 김병하 국가안전보위부장을 통해 시행한 정보정치의 극단을 보는 것 같다”고 보도했다.

이 사이트는 “출판 보도 부분까지 간섭하며 뉴스와 기사들을 검열하고 있는 것을 고려해보면 국가안전보위부 위상이 급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가안전보위부는 북한 최고의 공안 감시기관으로 ‘북한판 KGB(구 소련 국가보안위원회)’에 해당한다. 우동측 노동당 중앙군사위원이 수석 부부장을 맡고 있으며 5만명의 보위부원들을 거느리고 있다.

우동측은 김 위원장이 지난해 10월 후계자로 공식 지명된 아들 김정은을 위해 최측근에 배치한 인물로 장성택과 함께 ‘김정은 체제’의 핵심 친위그룹을 형성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결국 김정은은 자신의 최측근 인사를 통해 철저하게 북한사회를 감시하겠다는 의중을 드러낸 셈이다.

다른 대북 소식통은 “북한 전역에서 각 지역과 직장을 담당하는 보위부원들이 직접 나서서 김정일 추모 장소 선정, 추모행사장 꾸미기, 추모형식 지정 등을 도맡고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김정일 사망과 동시에 각급 당 조직에 시달된 중앙당조직지도부·선전선동부 명의의 연합지시문에 ‘국가안전보위부 활동에 적극 협조하고 이들의 의견을 조건 없이 수용하라’고 명시돼 있다”고 덧붙였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