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안정이 中·日 공동이익”… 후진타오·노다 베이징 회담
입력 2011-12-26 23:06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26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따른 북한 문제를 논의하면서 한반도 안정이 관련국의 공동이익에 부합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교도통신과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 보도에 따르면 후 주석은 이날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노다 총리와 회견한 자리에서 “관련국이 냉정함을 유지해가면서 6자 회담을 재개함으로써 대화와 협력으로 비핵화를 실현해 한반도의 장기 안정을 도모하고 싶다”고 말했다. 후 주석은 또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유지하고 동북아의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일본 등과 함께 노력하고 긴밀한 의사소통을 유지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후 주석이 지난 20일 조전을 통해 김정은 체제 지지의사를 표명한 바는 있으나 한반도 정세와 관련한 입장을 직접 밝힌 것은 처음이다.
후 주석과 노다 총리는 내년 수교 40주년을 맞아 양국 간 전략적 호혜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로 했으며 일본인 피랍자 문제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경제분야에서는 친환경, 금융 등에서 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한·중·일 투자협정과 자유무역협정(FTA)도 진전시키기로 했다.
무엇보다도 위안화의 국제통화 지위를 강화하는 데 서로 합의한 대목은 눈길을 끈다. 일본은 중국 국채를 사들이고 양국 교역에 있어서는 엔·위안화 결제를 촉진한다는 데에 합의한 것이다. 중국은 이미 일본 국채에 대한 투자를 확대했다.
중국 국채를 구입하려면 중국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노다 총리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와의 회담에서 일본 측이 중국인민은행의 허가를 신청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중국 국채 매입 규모는 밝히지 않았지만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최대 1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도했다. 이로써 양국은 상대국 국채를 상호 보유하는 단계가 됐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일본이 위안화 표시 채권을 매입키로 한 것은 중국 측으로 보면 위안화가 국제 통화로 가는 길을 열 수 있고, 일본 측로서는 미국 달러 외에 보유 외화를 다양화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측면이 있다”며 “양국의 이해가 맞아 떨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국은 또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공식 협상을 내년 초 개시한다는 데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5월 FTA 산관학(産官學) 공동연구를 시작한 한·중·일 세 나라는 최근 공동연구를 매듭지었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