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시대] ‘동네 정보원’ 비판 받는 국정원 軍출신 대북정보 분석가 특채키로

입력 2011-12-26 00:06

대북 정보망 붕괴로 ‘동네 정보원’이라는 비판까지 받고 있는 국가정보원이 부랴부랴 북한 정보 전문가 긴급 충원에 나섰다. 군 출신 대북 정보분석 전문가를 공개 특채하겠다는 공고까지 내면서 급하게 ‘불끄기’에 나선 모양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 사망 발표 이틀 후인 지난 21일 정보 및 작전 분석 분야 경력을 가진 육·해·공사 출신 전·현직 장교 등을 선발하는 모집 공고를 냈다고 25일 밝혔다. 국정원은 모집 공고를 내면서 “내년 3월까지 전역이 가능한 사람은 지원할 수 있으며 영어 능통자는 우대한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의 군 출신 정보분석 경력자 공개 특채는 최근에 없던 일이라는 전언이다. 그만큼 대북 정보를 다루는 인적 자원의 충원이 급했다는 해석이 나올 만하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국정원 내부의 대북 정보라인이 붕괴됐음을 그대로 보여주는 대목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명박 정부 들어 대북 정보를 다루는 조직과 체계가 와해되면서 대북 정보를 다루는 인적 자원 자체가 충분하지 않다는 증거라는 것이다. 한 정치권 인사는 “국정원이 얼마나 급했으면 자기들이 ‘한 수 아래’라고 여기던 군에서 대북 정보 전문가를 구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일각에서는 대북 정보 수집력 부재 원인으로 대북전략국 해체를 꼽기도 한 만큼 이번 채용이 단순한 인력 충원을 넘어 조직의 부활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에 대해 국정원 측은 “연초부터 필요 인력을 수시로 채용해왔다”면서 “사전에 채용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과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 내부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북한군의 정보 전달 방식에 익숙한 전문가를 선발하는 것으로, 대북 정보를 다뤘거나 북한 군 이상 동향을 능숙하게 해석할 경험자를 찾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원세훈 국정원장은 지난 20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여야 의원들로부터 김정일 위원장 사망 사실을 사전에 알지 못 한 점을 지적받으며 “국정원이 동네 정보원이냐”는 비난까지 감수해야 했다. 국정원은 김정은이 김 위원장 사망 직전 ‘대장 명령 1호’를 전군에 하달해 훈련 중지, 유동 인원의 부대 복귀를 명령했다는 내용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국정원은 학사학위 이상 대테러 작전·전술분야 경력자와 홍보기획 전문가도 이번에 충원한다. 지난해 국정원은 군 출신 방산업무 전문가를 다수 특채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