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ETF 활성화 팔 걷는다

입력 2011-12-25 19:40

정부가 상장지수펀드(ETF) 활성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ETF가 장기투자 대안으로서 장점이 많은 시장임에도 미국 등 선진국과 비교해 아직 규모가 미미한 수준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10월 말 ETF 활성화 및 건전화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금융연구원에 의뢰했다. 금융위는 이와 별개로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ETF 시장 활성화 작업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금융위가 금융연구원에 제시한 연구과제에는 퇴직연금과 연기금의 시장 참여 유도 방안, 상품 유형 다양화 방안, 파생형 ETF에 대한 쏠림현상 완화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ETF는 퇴직연금이 투자하기에 좋은 상품이다. 앞으로 퇴직연금이 ETF를 많이 편입할 수 있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또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유인책도 준비하고 있다. 지난 22일 기준 ETF 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 비중은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51.26%(2508억원), 22.49%(1100억원)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연기금과 공제회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 합계는 1억3000만원으로 비중은 0.03%에 불과하다.

국내 ETF 순자산총액은 2002년 3444억원에서 올해 말 10조원 규모로 성장했지만,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대비로는 1%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ETF는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갖춘 데다 투자비용도 저렴해 시장을 건전하게 키워간다면 장기투자의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동 기자 hdpar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