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시대] 한·중 내주 전략대화 배경… 불통 우려 씻고 對北정책 거리 좁히기

입력 2011-12-23 19:38

한국과 중국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다시 소통하기 시작했다. 양국은 22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을 가진 데 이어 다음주에는 서울에서 고위급 전략대화를 갖기로 했다. 현재 양국은 이를 위해 실무적인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전략대화는 김정일 사후 처음 열리는 양국 고위급간 만남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그 동안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 주석 간 전화 통화마저 이뤄지지 않아 양국간 ‘대화 채널’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던 차였다.

전략대화에서는 무엇보다도 포스트 김정일 체제를 둘러싼 한반도 정세 운용에 대해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2일 저녁 베이징에서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 특별대표와 가진 회담과 만찬을 겸한 회동에서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6자회담 재개 방안을 협의했다. 이와 관련해 김 위원장 장례식이 끝나면 내년 1월 중 제3차 북·미 대화에 이어 6자회담 재개 절차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성급한 기대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고위급 전략대화에서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좀 더 심도 있는 의견 교환이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23일 이와 관련해 “양국이 고위급 전략대화를 한다면 김정일 사후의 한반도 상황에 대해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의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측과 솔직한 대화가 이뤄지기를 기대한다는 뜻이다.

이번 전략대화에 참석할 중국 측 수석대표 장즈쥔(張志軍) 외교부 상무부부장은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의 베트남, 태국 순방을 수행할 만큼 위상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문제는 중국이 지금까지 한반도 안정을 주장하면서 한국 미국 일본의 대북정책과는 거리를 둬 왔다는 점이다. 이 같은 점에 비춰볼 때 중국이 대북 정책을 놓고 얼마나 우리의 입장과 근접한 모습을 보일지는 사실 미지수다.

전략대화에서는 내년 초로 예정된 양국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도 의견을 교환하게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 소식통은 “정상회담을 놓고도 양국간 협의할 사안이 있다”고 말해 막바지 조율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양국은 이밖에 외교현안으로 떠오른 어선 불법조업 근절대책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문제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략대화는 2008년 8월 한·중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매년 개최되는 것으로 이번이 네 번째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