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시대] 北, ‘대장 명령 1호’ 공개 등 정보 노출에 암호체계 변경 조짐

입력 2011-12-23 18:59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 우리 정보기관의 암호분석 체계를 바꿔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부 북한의 주요 정보가 우리 기관에 포착되면서 북측이 ‘정보유통’ 방식을 변화시킬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정보당국의 한 전직 고위 관계자는 23일 “최근 김 위원장 사망과 관련해 공개돼서는 안 될 정보들이 노출되고 있어 상당히 우려스럽다”면서 “(국정원이) 사망사실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면하려고 다른 주요 정보를 자꾸 공개하는 바람에 북한이 정보전달 방식을 바꾸려고 한다”고 밝혔다.

김정은이 당 중앙군사위원회 명의로 전군에 하달한 ‘대장 명령1호는 SI(Signal Intelligence·특수정보)로 북한군 통신내역을 감청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 대장 명령1호 공개로 북한군은 통신내역이 감청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으며 조만간 군 통신 전달체계를 바꿀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북한에 대한 정보 수집은 미국 정찰위성과 정찰기 등을 통한 영상정보(IM·Image Intelligence)와 SI, 인적정보(HUMINT·Human Intelligence)를 통해 이뤄진다. IM은 첨단정찰 장비를 지닌 미국의 도움을 주로 받는 반면, SI는 우리군 감청부대가 앞서 있다.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 평양에서 긴급 출동한 헬기의 다급한 교신내용을 파악한 것도 통신감청 덕분이었다.

2002년 6월 29일 제2연평해전 때도 북한이 우리 함정에 대한 공격지시 내용을 담은 SI가 수차례 보고됐지만 묵살돼 논란이 되기도 했다. 문제는 북측이 통신방식을 완전히 바꿀 경우 우리 정보당국이 구축한 암호분석 체계까지 수정해야 돼 일대 혼란을 야기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은 교신시간과 내용이 공개되면 곧바로 암호체계를 바꾼다”며 “이 때문에 19일 오전 말단부대에 하달된 김정은의 명령1호를 해독하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북한은 90년대 중반부터 전국에 광케이블을 깔았다. 지금도 이를 이용한 통신은 파악하기 힘든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처럼 전군에 신속하게 전달돼야 하는 경우는 무선통신을 사용한다. 우리 군은 말단부대에 전달된 내용을 감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