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규 原電 공사도 안전 최우선으로
입력 2011-12-23 17:59
경북 영덕군 영덕읍과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이 신규 원자력발전소 후보 부지로 선정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3일 “삼척시, 울진군, 영덕군 등 3개 지방자치단체가 원전 유치 신청을 했다”며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부지선정위원회가 부지 안전성, 환경성, 건설적합성, 주민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후보 부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후보 부지는 각각 4기 이상의 원전을 건설할 수 있는 규모로 조성된다. 삼척과 영덕에 원전이 들어서면 국내 원전 소재지는 고리, 영광, 월성, 울진에 이어 6곳으로 늘어난다.
한수원은 지난 3월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여파로 인해 올 상반기에 후보 부지를 발표하려던 계획을 미뤄왔다. 그러나 발표 시점을 마냥 늦출 경우 원전 건설 및 장기 전력수급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해 후보 부지를 발표했다. 현재 30%인 원자력 비중을 2040년까지 40%로 늘리려는 기조를 유지하려면 원전 건설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일부에서는 원전의 위험성을 거론하며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거세게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려면 원전을 건설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수년 전부터 나타난 이상기온으로 겨울철 전기난방 수요가 급증해 언제 전국적으로 정전사태가 닥칠지 모를 만큼 전력수급이 아슬아슬한 상황이다. 전기 수요를 제한하는 방법만으로는 전력 부족을 메울 길이 없다. 최근 울진원전 1호기에 이어 고리원전 3호기가 가동을 중단하자 전력예비율이 올 겨울 들어 최저인 8%대까지 떨어진 적도 있다.
전력 당국은 후보 부지에 대한 사전 환경성 검토와 정밀조사 등을 차질 없이 수행하는 등 남은 절차를 매듭짓기 바란다. 또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공사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원전 건설에 반대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