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건설 후보지, 삼척·영덕 선정… 정부, 23일 평가결과 발표
입력 2011-12-23 00:43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 후보지로 강원 삼척과 경북 영덕 등 두 곳이 선정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원전정책이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22일 한국수력원자력과 지식경제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한수원은 지난 2월 원전 유치를 신청한 이들 두 곳과 경북 울진 등 모두 세 곳을 대상으로 평가 작업을 마치고 23일 이 같은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당초 삼척, 영덕과 울진 등 신청한 세 곳이 모두 선정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영덕과 삼척만이 낙점됐다. 이로 인해 삼척과 영덕에서는 원전 반대 움직임이, 역으로 울진에서는 탈락에 대한 반발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경부는 앞으로 중장기 원전건설 계획과 전력수급 계획에 따라 부지 정밀조사,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늦어도 내년 말까지는 적합 후보지를 최종 부지로 확정하고 원전을 4기씩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여파로 신중을 기하던 정부가 이처럼 원전정책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정밀조사와 환경영향평가를 받으려면 최소 1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되는 데다 중장기적으로 전력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급능력 확충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같은 맥락에서 올 초 신고리원전 1호기를 준공한 데 이어 최근 신울진 1, 2호기에 대해서도 건설 허가를 받아 착공 시기를 저울질하는 등 원전 건설정책에 탄력을 붙이고 있다.
지경부 고위 관계자는 “정부의 장기 전력수급 계획에 따르면 지금 30%가량인 원자력 비중을 2040년까지 40%로 늘리게 돼 있다”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원전의 안전 문제는 확인하고 또 확인하면서 꼼꼼하게 살피는 게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밀조사 결과 건설 부적합 판단이 나오지 않는 한 이들 두 곳은 모두 새로운 원전 부지로 자리매김하며 각각 최대 140만㎾짜리 4기씩 원전을 들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고리, 영광, 월성, 울진에 이어 삼척, 영덕까지 국내 원전 소재지는 모두 6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노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