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화해와 협력 위해 교회가 앞장서야”… NCCK 주최 기독교 통일운동 위한 긴급 좌담회
입력 2011-12-22 20:59
남북통일운동의 진보적 입장에 서 있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22일 서울 연지동 기독교회관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 전환기 속 기독교통일운동의 방향을 위한 긴급 좌담회를 가졌다. 좌담회에는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과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두 사람은 “현 정부가 예상했던 북한의 급작스러운 붕괴는 오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강경 대북정책을 거두고 남은 1년간 대화와 협력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장관은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진 북한 정권은 단순 정권교체 차원이 아니라 김일성의 주체사상과 권위, 통치철학이 그 시스템 속에서 계속 연장되기 때문에 급변사태의 가능성은 없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북·미 북·일 관계라는 본질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반도 문제는 결코 풀리지 않는다”면서 “이보다 앞선 선결과제가 바로 남북관계”라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또 “남북이 주도적으로 평화적 관계를 이루고 국제사회의 정책을 견인하기 위해선 정부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우선 인도적 지원과 금강산 관광 등을 통해 남북공존에 힘쓰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12년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 주요 국가의 권력 교체가 이뤄지는 중요한 시점인데 김 위원장의 급서로 첫 신호탄이 터졌다”면서 “북한의 새로운 리더십 창출은 새판 짜기의 가능성이 열린 것이기에 공동번영이라는 선택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현재 한반도 상황은 한·미 북·중 동맹의 끈이 같이 연결된 채 폐쇄적 대립구조로 가고 있다”면서 “한반도 평화협력이 동북아 협력의 ‘키’라는 사실을 깨닫고 북한 체제와 현실적 협상·협력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들 두 사람은 한국교회가 통일운동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한국교회가 1980년대 도잔소 회의와 글리온 회의,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 기독교의 선언’ 발표 등을 통해 통일운동을 주도했듯이 예언자적 사명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장관은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은 한반도 통일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바 있다”면서 “한반도의 평화통일이 반드시 이뤄진다는 신앙고백 아래 교회가 민족사의 미래이자 희망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국교회는 우리 내부에 있는 남북관계의 오해를 사실대로 규명해야 하며 세계교회협의회(WCC) 총회에서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해야 하는 필요성을 알리는 등 세계교회를 움직이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도 “한국 사회는 경제적·이념적 양극화를 해소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면서 “특히 대북정책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남남갈등은 이념적 양극화의 ‘뇌관’이라 할 수 있기에 교회가 진지한 성찰과 반성, 중재역할로 북한 사랑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