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이번엔 ‘해킹 공방전’ 시끌… 美 상공회의소 공격당해 300만명 정보 유출

입력 2011-12-22 18:20


무역 불균형, 위안화 절상 등으로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이번엔 해킹 사건이라는 암초를 만났다.

미국 상공회의소(USCC) 사이트가 해킹당해 회원 300만명의 신상 정보가 털렸으며, 미국 측은 해커들이 중국 정부와 관련 있는 자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은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WSJ 취재에 따르면 미 상공회의소 측은 지난해 5월 연방수사국(FBI)의 첩보로 해킹 사실을 인지하게 됐다. FBI는 상공회의소에 “중국에 있는 서버에서 정보를 빼가고 있다”고 알려줬다.

이 해킹은 300개 이상의 인터넷 주소가 사용된 복잡한 작전이었다. 상공회의소 측이 해킹당한 사실을 알아차릴 때까지 해커들은 상공회의소 네트워크를 해킹해 회원 300만명의 신상 정보에 접근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부 조사결과 해킹은 2009년 11월부터 시작됐다. 해커들은 키워드 검색 방식을 통해 상공회의소 문서들을 해킹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훨씬 이전부터 해킹당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얼마나 많은 자료가 해커들 손에 넘어갔는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한 상태라고 조사관계자는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조사관계자는 “조사결과 해커들은 아시아 정책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직원 4명의 컴퓨터를 집중 공략했다”면서 “6주간 이들이 사용한 이메일 기록이 모두 해킹당했다”고 밝혔다. 이 메일에는 각 기업 핵심 정책결정자들의 신상뿐 아니라 무역정책, 상공회의소와 기업 간 면담 내용 등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회원 약 50명의 통화내용도 해킹 위험에 노출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미 상공회의소에는 450여명의 직원이 있으며 기업 이익과 관련된 민감한 정보를 많이 취급한다.

미 상공회의소는 사이버 공격을 당한 후 인터넷 보안 절차를 강화하고 있다. 미 하원 정보위원회 마크 로저스 의장은 “이번 사건을 통해 정부뿐 아니라 사기업 등도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는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는 미 상공회의소의 해킹 사건이 중국과 관련됐다는 미국 주장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워싱턴DC 주재 중국 대사관 대변인은 “해킹 사건에 중국이 관련됐다는 미국 주장은 근거가 부족해 신뢰할 수 없다”면서 “미국은 이번 사이버공격 문제를 정치 이슈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해커들의 공격은 중국법으로 철저하게 막고 있다”면서 “사이버 공격을 막기 위해 중국은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지선 기자 dyb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