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시대 선언] 김정은, 軍 이미 장악… 군부 쿠데타 가능성 낮아

입력 2011-12-22 18:03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후 북한 사회 안정에 중요한 변수 가운데 하나는 군부 움직임이다. 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킬 경우 김정은 체제는 시작도 하기 전에 붕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 문제 전문가들은 현재로서는 군부 쿠데타가 발생할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보고 있다. 김정은이 지난 19일 김 위원장 사망 발표 직전 ‘대장 명령1호’를 북한군에 일제히 하달하는 등 군을 이미 장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정인 연세대 교수는 22일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김정일은 생전에 김정은이 노동당 정치국을 장악토록 해 군에 대한 당의 통제 기능을 재가동시켰다”며 “따라서 군의 충성이 쉽게 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도 “김정은 후계 체제는 지난해부터 작동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권력구도를 흔들 만한 군부 내 반발기류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은은 모든 군 조직을 감시하는 막강한 기구인 당 총정치국에 자신의 측근 김정각 제1부국장과 김원홍 조직담당 부국장을 포진시켜놨고 군 작전을 총지휘하는 총참모장에도 이영호(차수)를 앉혔다. 군사 전문가들은 이영호가 김정은 편에 있는 한 군부 쿠데타는 기대하기 힘들다고 전망한다.

또 북한군은 이중삼중의 감시체계로 운영되고 있어 쿠데타 모의가 쉽지 않다. 당 정치국 소속 정치위원들이 군단에서 일선 중대급 부대까지 배치돼 일선 지휘관들을 정밀하게 감시하고 있다. 보위사령부에 의한 군 자체 감시체계도 만만치 않다.

군이 최고의 기득권 세력인 데다 핵심 인사들이 당 중앙위원회와 최고인민회의 위원을 겸직하며 사실상 국가통치에 함께 참여하고 있다는 점도 군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요소다. 남성욱 국가안보전략연구소장은 “군부는 자신들의 이익이 크게 침해되지 않는 한 기득권을 걸고 모험을 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정은 체제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군부를 무시한 정책이 추진되거나 군부세력 간 권력투쟁이 시작될 경우 일부 조직에 의한 제한된 쿠데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북아프리카발(發) 재스민 혁명이 북한에서 일어날 가능성 역시 낮다. 주민들의 외부 접촉이 많아지고 휴대전화이나 컴퓨터 인터넷 등의 보급으로 북한 내부 정보력이 높아져 사회 불만이 커지고 있긴 하지만 저항 세력화할 주체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국방연구원 김진무 박사는 “철저한 주민통제가 이뤄져 있어 민중봉기는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