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시대 선언] ‘北체제 안정’ 원하는 G2… 정보 캐내기 숨가쁜 美

입력 2011-12-23 00:32


미국 국무부가 지난 19일(이하 현지시간)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의 미국 대사관에 북한 관련 정보 수집을 강화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미 국무부의 지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발표 하루 만에 나온 것이다.

국무부의 지시 내용은 평양에 외교공관을 둔 나라의 미국 대사관들은 주재국 정부와의 접촉을 강화하며 북한 내 동향 정보를 파악하라는 것이다. 이 같은 지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북한 내부 상황과 관련된 미국의 정보 부재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워싱턴 외교 소식통은 21일 “미국 정부가 북한 내부 정보가 제대로 들어오지 않고 있는데 대해 답답해하는 것 같다”며 “평양과 외교관계를 갖고 있는 나라들을 탐문하는 것도 북한 내부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미국은 특히 한반도 전문가인 성 김 대사가 지휘하고 있는 주한 미국 대사관으로부터 상당한 양의 북한 관련 정보와 분석을 보고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클리포드 하트 6자회담 특사가 북한 유엔대표부 한성렬 차석대사와의 접촉을 통해 식량 지원과 비핵화 현안을 논의하는 것도 북한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다.

한편 백악관은 이날 김 위원장 사망 이후 ‘김정은’을 처음으로 공식 거명했다. 사망 이후 지금까지 백악관이나 국무부는 ‘김정은’이라고 직접 거명하지 않고 북한의 새 리더십(new leadership)이라는 표현을 일관되게 써 왔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권력분할 합의 징후’와 관련한 일부 보도와 관련, “김정일은 김정은을 공식 후계자로 지명했고, 현 시점에서 변화가 있다는 어떤 증거도 없다”고 말했다.

백악관 대변인의 첫 김정은 거명은 김정은 체제를 현실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김정은으로의 공식 후계에 ‘어떤 변화가 없다’고 언급한 것은 현재까지 안정적인 체제 전환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판단을 한 것이다. 미국이 그동안 새 리더십으로 표현한 이유는 확고한 김정은 체제로 갈지, 아니면 군부 등 집단지도체제가 들어설지 확실한 판단을 유보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워싱턴 외교 소식통은 “백악관 대변인의 첫 김정은 호칭은 현실을 감안한 것으로 의미가 있다”면서도 “하지만 질문 답변 과정에서 나온 것이며, 아직 북한 체제에 대한 미국의 시각은 백악관과 국무부의 공식 성명에서 표현된 ‘새 리더십’에 더 무게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 국방부는 브리핑을 통해 “현재까지 북한 군부의 특이 동향은 없다”고 북한 상황이 안정적임을 밝혔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