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남·북·러 가스관 등 남북협력사업 기로에

입력 2011-12-20 22:10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남북협력사업이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남북협력의 상징이자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인 개성공단은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개성공단은 20일 평상시와 비슷하게 정상 조업이 이뤄졌다. 전날 김 위원장에 대한 애도를 위해 조기 퇴근했던 북측 근로자 4만8000여명은 이날 정상 출근해 조업에 참여했다. 북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은 개성공단 내 북측 관리지역인 총국 사무소와 개성공단 인근 봉동지역, 개성 시내 3곳에 분향소를 설치했다. 총국과 남측 개성공단관리위원회는 29일까지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의 조문을 보장하되 정해진 근무시간도 그대로 준수하기로 했다. 북측 근로자들은 영결식과 추모대회가 열리는 28일과 29일에는 휴업할 예정이다.

하지만 북한이 한때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던 남·북·러 가스관 연결사업 등은 김 위원장 사후 북한 체제가 어느 정도 안정되기 전까지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즈프롬은 지난 9월 15일 북한과 가스관 건설에 대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하면서 공동실무그룹을 구성키로 합의했다.

한국가스공사와 가즈프롬도 내년 4월까지 가스공급 협정을 체결하고 2013년 9월까지 가스관 노선 설계안을 마련해 2016년 12월까지 공사를 마무리하는 로드맵에 합의했다. 합의안대로 진행되면 2017년 1월부터 가스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러시아는 최근에도 700㎞에 이르는 북한 내 가스관 건설비용을 부담하겠다고 밝히며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 따라서 내년 초쯤이면 한·러 간 가스공급 및 구매 계약이 정식으로 체결되면서 사업이 수면 위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됐었다.

그러나 김 위원장 사망으로 사업 추진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특히 북한의 김정은 체제가 정착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북한이 큰 혼란에 빠진다면 사업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는 북한의 정세변화를 지켜봐야 한다는 분위기다.

지경부 관계자는 “가스관 사업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여서 김 위원장 사망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