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1994년 ‘조문파동’ 재연 우려속 여야 입장차 극명… 혼란 불가피

입력 2011-12-20 18:38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조의 표명 및 조문단 파견 문제를 놓고 정치권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야 모두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 조문 파동처럼 남·남 갈등이 불거질까 우려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나 입장 차이가 커서 갈등이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나라당 이두아 원내대변인은 20일 “한나라당은 북한 주민들에게 위로를 표하며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논평했다. 정부의 조의 표명에 발빠르게 공동 보조를 취한 것이다. 전날 박근혜 비대위원장 주재로 열린 긴급안보대책회의에선 조의 표명을 하자는 목소리가 다소 우세했으나 박 위원장이 “연평도와 천안함 사건으로 괴로워하는 국민들이 있다”며 결론을 유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나라당은 조문단 파견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리진 않았지만 연평도와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한 당국의 공식 입장 표명이 없는 상황에서 조문단 파견은 적절치 않다는 목소리가 많다. 보수 성향의 자유선진당도 조문단 파견은 공식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이다.

민주통합당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조문단 파견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원혜영 공동대표는 “이해찬 전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한반도 안정과 평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며 “한나라당 박 비대위원장을 찾아가 북한 문제에 대해 초당적으로 협력할 것을 요청하고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김진표 원내대표도 “우리 당은 초당적으로 정부와 협력하겠다”며 “94년 김 주석 사망 당시 조문외교를 실수해서 (남북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전철을 밟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야권에선 조문사절단을 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김동철 의원은 “모든 국민에게 조문을 허용하는 게 아니라 소수의 사람들이 조문단을 구성해 질서 있게 조문하는 것은 정부 당국이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영 전 최고위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부와 여야가 합동 조문단을 꾸리자”고 적었다.

노무현 재단도 참여정부 당시 통일외교안보 장·차관 및 청와대 보좌관 긴급간담회를 열어 조문단 파견 및 통일부를 통한 조의문 전달을 요구키로 결정했다. 정부의 방북 조문단 허용 대상에 재단이 포함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안영배 사무처장은 “(조문단 파견에 대해) 통일부에 공식 요청을 했으니, 답변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